영국 왕실이 2024 회계연도 재정 보고서를 통해 국민 세금으로 조성되는 연간 보조금 '소버린 그랜트'를 지난해와 동일한 8630만 파운드(약 1600억 2240만원)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1일(현지시간) 미 CNN 방송은 보고서 내용을 인용해 "작년 왕실 가족은 총 1900건 이상의 국내외 공식 일정을 소화했다"면서 "8개 공식 왕궁에서는 828건의 공식 행사를 통해 약 9만3000명의 하객을 맞았다"고 보도했다.
소버린 그랜트는 왕실이 공식 업무를 수행하고 왕궁을 유지·보수하는 데 쓰이는 비용을 말한다. 전액 영국 국민의 세금으로 조성된다. 이에 대한 대가로 영국 국왕은 '크라운 에스테이트(Crown Estate)'에서 발생하는 모든 수익을 정부에 귀속시키고 있다. 크라운 에스테이트는 런던 중심부의 대규모 부동산과 애스컷 경마장, 잉글랜드·웨일스·북아일랜드 주변 해저 등의 자산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같은 구조는 조지 3세가 즉위한 1760년부터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소버린 그랜트는 국왕과 그 대리인들이 수행하는 공적 업무와 관련된 비용을 충당하는 일종의 '경비 계좌'다. 왕실의 해외 및 국내 여행, 직원 급여, 왕실 건물 유지비 등이 포함된다. 단, 각종 행사에서 발생하는 왕실 구성원의 보안 비용은 별도 예산으로 처리된다.
전체 예산 8630만 파운드는 ▲기본 운영비용 5180만 파운드(약 960억1344만원)와 ▲버킹엄궁 리노베이션 비용 3450만 파운드(약 640억원)로 구성된다. 버킹엄궁은 전기 배선, 배관, 승강기, 장애인용 화장실 등 주요 설비를 현대화하는 중대한 개·보수 공사를 진행 중이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약 180년 이상 사용돼 온 왕실 전용 열차의 퇴역 결정도 담겼다. 보고서는 "이용 실태와 비용 효율성에 대한 철저한 검토 결과, 왕실 전용 열차를 공식적으로 퇴역시키기로 했다"고 밝혔다. 왕실 열차는 1842년 빅토리아 여왕이 처음으로 런던 패딩턴 역까지 이용한 이후 지속돼왔다.
한편 왕실은 친환경 정책의 일환으로 지속가능 항공 연료(SAF) 사용을 확대하고 차량 전기화 전환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왕실은 "대부분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으나 구체적인 전환 시점은 명시하지 않았다. 영국 PA 통신에 따르면 찰스 3세의 벤틀리 차량 두 대는 바이오연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조될 예정이다.
왕실의 주요 수입원은 ▲소버린 그랜트 외에도 ▲랭커스터 공작령(Duchy of Lancaster) ▲콘월 공작령(Duchy of Cornwall)에서 발생하는 수익과 ▲왕실 개인 자산 및 투자 수익 등이다.
하지만 왕실 재정에 대한 논란은 끊이지 않고 있다. 영국 찰스 3세 국왕의 재산이 최소 3조원이고 영국 왕실의 전체 재산은 40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군주제 단체 '리퍼블릭(Republic)'은 소버린 그랜트 폐지를 요구하며, 크라운 에스테이트 수익 전액을 영국 국민에게 환원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리퍼블릭 활동가 그레이엄 스미스는 올해 초 성명을 통해 "정부 수익에 연동된 현재의 보조금 시스템은 비합리적이다"며 "버킹엄궁 리노베이션이라는 명목으로 10년 전에도 예산이 두 배로 증가했는데, 같은 논리를 반복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왕실 운영에 들어가는 수백억 원을 공공 목적으로 활용하고, 전체 비용은 수백만 파운드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제임스 챌머스 왕실 재무관(Keeper of the Privy Purse)은 "소프트 파워의 가치는 수치로 측정하긴 어렵지만, 현재 국왕의 통치 아래 그 중요성이 국내외에서 더욱 명확하게 인식되고 있다"며 "왕실은 영국과 영연방 국민을 위한 봉사에 계속 헌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