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30일 국가적인 자생력을 갖춘 소버린 인공지능(AI) 역량 보유를 강조하며, 핵심 기술에 있어 글로벌 빅테크에 의존하거나 종속돼선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류 차관은 이날 정부 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글로벌 빅테크가 독점력이 큰 건 사실이지만, 국가적인 자생력을 가진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의 차이는 굉장히 크다"고 밝혔다.
이어 "미래에 운명을 결정할 핵심 기술이고 중요한 기술이라면, 어떤 비용을 들여서라도 종속되지 않고 독자적인 역량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우리나라 최고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직접 개발했다"고,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에 대해선 "국내에서 자타가 공인하는 AI 전문가"라고 호평했다.
그러면서 "과기정통부는 AI 전담 주무 부처로서 계획과 비전들이 제대로 잘 실행될 수 있는 탄탄한 정책들을 만들 것"이라며 "AI 경쟁에서 승부를 겨뤄볼 수 있는 것들을 잘 해나가는 부처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각오를 전했다.
그는 고영향 AI 규제 유예 등 AI기본법 개정 관련한 취재진 질문에 "일부에서 규제를 유예해야 한다는 주장이 있는 건 사실"이라며 "장관 후보자가 청문회 과정에서 입장 발표가 있을지 모르겠다.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여러 논의와 맞물려 정리될 것"이라고 답했다.
아울러 그는 취임사에서 "AI 고속도로의 핵심인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확충하고, AI 전용 국산 NPU(신경망처리장치) 개발과 실증을 더욱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AI 컴퓨팅, 데이터, 인재를 중심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탄탄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정부가 민간 투자의 마중물이 돼 AI 투자 100조원 시대를 열어 혁신기업을 육성하겠다"고 취임 일성을 전했다.
류 차관은 ▲ 세계 최고의 초고성능·초지능 디지털 인프라 구축 ▲ 안전한 AI 활용을 위한 정보보호 제도 전면 개선 ▲ 가계통신비 부담 경감과 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선택권 대폭 강화 ▲ 방송·미디어 분야 AI 전면 적용 등을 추진 과제로 들었다.
한편 SK텔레콤 해킹 사고와 관련해선 "위약금 문제에 대해선 7월 4일을 목표로 한다고 유상임 장관이 밝혔다"며 "최종적인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발표 타이밍이나 방식을 어떻게 할지는 국회와 논의를 좀 더 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