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서 '수시'로 대학 가기 힘들다…학생 수 '100명' 미만 학교, 86% 지방 쏠림

전국에 고1 '100명 미만'인 학교 283곳
지역 내 비율, 서울 3% vs 강원 50%
"학생 수 적을수록 '정시' 주력해야"

강원·전북 지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은 내신 중심의 '수시'보다 수능 중심의 '정시'로 입시 준비를 하는 게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학생 수가 많을수록 내신 받기가 유리한데, 이들 지역에선 학생 수가 100명도 채 안 되는 곳이 절반에 육박하기 때문이다.

지방서 '수시'로 대학 가기 힘들다…학생 수 '100명' 미만 학교, 86% 지방 쏠림 원본보기 아이콘

2025학년도 대입 수학능력시험일인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고에서 수험생들이 고사장 안내도를 보고 교실을 확인하고 있다. 허영한 기자

2025학년도 대입 수학능력시험일인 1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여고에서 수험생들이 고사장 안내도를 보고 교실을 확인하고 있다. 허영한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26일 아시아경제가 종로학원에 의뢰해 '2025년 전국 일반고 학생 수 규모 분포 현황'을 파악한 결과, 고1 학생이 100명 미만인 학교는 전국 1703개교 중 283곳(16.6%)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86%가 서울·경기·인천 외 지역에 쏠려있었다.


지역 내 100명 미만 학교 비중을 보면 서울(3.8%, 213개 고교 중 8곳), 경기(6.1%, 396개 고교 중 24곳), 인천(9.1%, 88개 고교 중 8곳) 등에선 한 자릿수였다.

그러나 경북, 전북은 각각 38.8%(121개 고교 중 47곳), 44.2%(95개 고교 중 42곳) 등으로 100명 미만인 학교 비중이 두드러지게 높았다. 특히 강원은 86개 고교 중 44곳(51.2%)이 100명 미만인 학교로 절반에 달했다.


입시 업계에서는 학생 수가 적은 지역일수록 '수능'에 초점을 맞춰 입시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교육열이 치열한 서울보다 지방이 내신 따기 유리하다'는 인식은 구조적으로 성립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올해부터 내신 5등급제가 적용되는 고1은 상위 10%까지가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이후 34% 2등급, 66% 3등급, 90% 4등급, 90% 이하 5등급으로 구분되는데, 한 학년이 100명도 되지 않으면 내신 등급 받기는 그만큼 어려워진다.

특히 고교학점제가 실시되면 과목별 수강자 수가 이보다 더 쪼개지게 되는데, 수강자가 1~9명인 과목에선 1등급이 한 명도 나올 수 없다. 실력과 상관없이 1등급 진입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학생의 진로·적성 기회를 넓히기 위해 도입된 고교학점제가 본래 취지대로 추진되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본인 적성보다 수강자 수가 많아 내신 따기 유리한 과목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의도한 정책 방향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방일수록 '수능' 준비가 필요한데, 이들 지역은 오히려 정시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게 아이러니"라며 "공교육에서라도 이를 해결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