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해역 완도 "쓰레기 비상"…소각장 포화에 불법매립 의혹도

환경미화원-소각장, 책임 공방 격화
군, 600억원 투입 소각장 신축 추진
"쓰레기 감축·철저한 관리 선행돼야"

청정 해역으로 불리는 전남 완도군이 심각한 생활쓰레기 처리 문제에 직면했다. 지역 내 핵심 폐기물 처리시설인 완도자원관리센터 소각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상 가동이 어려운 상황인데다 일부 쓰레기가 불법 처리됐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25일 완도군에 따르면 완도자원관리센터는 지난 2011년 6월 완도읍 망석리 일원 11만2,000㎡ 부지에 268억원을 들여 준공됐다. 하루 25t 처리 규모의 소각시설과 8만2,125㎡ 규모의 매립장을 갖춘 이 시설은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추진돼 벽산ENG가 투자·설계·시공·운영을 맡았다. 군은 2026년까지 연간 약 40억원의 위탁비를 지급하는 조건으로 벽산ENG의 자회사인 완도자원관리센터에 관리·운영을 맡긴 상태다.

완도자원관리센터 소각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상 가동이 어려워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준경 기자

완도자원관리센터 소각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정상 가동이 어려워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준경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하지만 최근 이 소각장이 처리 능력을 넘어섰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내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를 전량 처리해야 하지만,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러 쓰레기가 제대로 소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과거엔 음식물 쓰레기를 불법 매립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환경미화원과 소각장 운영업체 간 책임 공방도 벌어지고 있다. 완도자원관리센터 관계자는 "주민들이 분리 배출한 쓰레기를 환경미화원들이 현장에서 한꺼번에 섞어서 반입하는 사례가 많고, 근무 시간도 채우지 않은 채 조기 퇴근하는 경우가 있어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일부 환경미화원들은 "소각장 자체가 이미 포화 상태인데, 우리가 일부러 쓰레기를 섞는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환경미화원 A씨는 "하루에 배출되는 쓰레기양이 워낙 많아 현장에서 모두 처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며 "소각장과 완도군은 문제를 알면서도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완도군은 현재 폐기물 처리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입장이다. 군 관계자는 "완도소각장은 하루 25t의 생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시설이며, 일시적으로 처리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타지역 폐기물 처리업체에 위탁하고 있다"며 "지난달에도 생활쓰레기 25t을 장성군으로 보냈다. 음식물 쓰레기는 1년 단위로 화순으로 보내 정상 처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군은 내년 4월 소각장 운영 계약 종료를 앞두고 500억~600억 원을 투입해 신규 소각장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축 소각장은 국비 30%, 지방비 70%로 조성되며, 기존 소각장을 철거한 뒤 새로 위탁 운영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단순한 시설 확충만으로는 쓰레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주민은 "쓰레기 감축을 위한 실질적인 대책과 철저한 관리가 선행돼야 한다"며 "신규 소각장 건립이 해법의 전부가 돼선 안 된다"고 말했다.







호남취재본부 이준경 기자 lejkg1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