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올해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공모 결과 전북 전주(거점형)와 경기 안산, 경북 김천, 경남 김해(이상 강소형), 대구(특화단지)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관련 산업을 활성화는 걸 목적으로 한다.
거점형은 스마트도시 사업을 전국에 확산할 수 있도록 거점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조성하는 사업이다. 선정된 전주시는 공간·서비스 수요에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수단, AI 중심 미래도시 모델을 만들기로 했다. 3년간 국비 160억원을 지원받는다. 목적기반차량(PBV)을 활용해 이동식 은행이나 캠핑 등 생활 SOC를 제공하는 한편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순환식 이동진료, 응급상황 관제 등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안산시는 강소형 가운데 지역소멸 대응형으로 선정됐다. 인구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일부 지역에 외국 시민이 쉽게 접근 가능한 다국어 지원 통합교통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다문화지역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권 활성화 플랫폼도 갖춘다. 마찬가지로 지역소멸 대응형으로 선정된 김천시는 자체 모빌리티 서비스, 자율주행 DRT 도입 등으로 모빌리티 특화 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
김해시는 기후위기 대응형 사업에 선정됐다. 유휴부지를 활용해 태양광 발전소를 갖추고 산업체 폐플라스틱 자원순환, 공동주택 기반 에너지 안심절감 서비스 등 생활 속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다. 올해 새로 생긴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대구광역시가 선정됐다. 3년간 국비 80억원을 지원받는다. 로봇·모빌리티, 지능형 관제에 특화된 AI 산업육성 플랫폼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시민이 체감하고 다른 지역에도 확산할 수 있는 스마트서비스를 만들어 상생하는 도시로 성장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