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에 받으려 했는데"…일부 지자체서 '가임력검사' 예산 조기 소진

지난해 첫 시행, 높은 호응에 예산 늘려
90억 증액으로도 조기 마감

서울시에서 임산부 등록을 하면 나눠주는 임산부 안내 책자, 뱃지 등이 들어 있는 꾸러미.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서울시에서 임산부 등록을 하면 나눠주는 임산부 안내 책자, 뱃지 등이 들어 있는 꾸러미.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원본보기 아이콘

임신을 계획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받은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이 예상치 못한 인파로 난항을 겪고 있다. 올해 90억원으로 예산을 대폭 증액했음에도 많은 접수로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원 접수가 마감되면서다.


연합뉴스는 18일 보건복지부 등을 인용해 정부의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이 큰 호응을 얻어 지자체들이 줄줄이 신청을 조기 마감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13일 기준 국비(평균 50%) 또는 지방비 소진을 이유로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접수를 중단한 지자체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서울, 부산, 세종 등 5곳이다.

이 사업은 결혼을 했는지, 자녀가 있는지와 무관하게 모든 20∼49세 남녀를 대상으로 여성의 경우 난소기능검사(AMH)와 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남성의 경우 정액 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여성은 최대 13만원, 남성은 최대 5만원을 받을 수 있다.


지난해 시작된 임신 사전건강관리 사업은 사실혼 관계를 포함한 부부와 예비부부에게 생애 1회 지원을 해주는 것으로 시작했다. 지난해 13만명이 신청해 좋은 반응을 얻자 올해 혼인과 무관하게 대상을 확대하고 횟수도 생애 주기별 3회로 늘렸다.


복지부 예산도 지난해 62억5000만원에서 올해 90억원으로 40% 이상 늘었지만, 이달 들어 복지부가 파악한 기준으로만 20만1000명이 사업을 신청하는 등 수요가 폭증했다.

이에 임신을 계획했던 시기와 맞지 않아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가 늘자 아쉬움의 목소리도 함께 커졌다. 서울에 거주하는 A씨(29)는 연합뉴스에 "올해 겨울쯤 임신을 계획하고 있어서 가임력 검사 지원을 하러 찾아봤더니, 벌써 끝났다고 하더라"라며 "좋은 내용의 사업이고 많은 도움이 된다고 들었던 만큼, 모든 사람이 걱정 없이 받을 수 있게 됐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박지수 인턴기자 parkjisu0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