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대통령과 개최한 정상회담에서 남아공의 '백인 농부 집단살해' 의혹을 공개적으로 제기하고 해명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1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열린 라마포사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백인 농부 집단 살해' 의혹을 거론했다. 두 정상은 언론이 지켜보는 가운데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서로 인사말과 덕담 등을 나누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허용하면서부터 논의의 주제가 관련 의혹으로 옮겨갔고 양 정상 간에 공방이 이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집단 살해 피해를 보는 사람은) 백인 농부들"이라며 "그들은 흑인이 아닌 백인"이라고 주장한 뒤 "그들이 남아공을 떠나고 있다. 이것은 슬픈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이에 대한 설명을 듣길 원한다"며 "나는 당신이 그것(학살)을 원치 않을 것임을 알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 중 참모에게 남아공에서의 백인 농부 학살 의혹과 관련된 영상을 상영하도록 했으며 백인 희생자 관련 기사를 출력한 종이 뭉치를 라마포사 대통령에게 건네기도 했다.
영상은 대규모 집회에서 극좌 야당 정치인인 줄리어스 말레마가 '보어인(네덜란드 이주민)을 죽이고, 농부들을 죽이자'라는 흑인차별정책 시행 시기의 악명 높았던 구호를 외치고 토지 몰수를 주장하는 장면과,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묻힌 곳'이라고 주장하는 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차량 행렬 등을 담았다.
이에 라마포사 대통령은 영상에 등장한 선동 연설은 정부 정책과 배치되는 소수 정당 관계자의 주장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우리나라에 범죄가 있고, 사람이 죽는다"면서 "그런데 범죄에 의해 죽는 것은 백인만이 아니다. 대부분 흑인"이라고 해명했다.
또 라마포사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농부 1000명이 매장된 곳'이라고 지목한 영상 속의 장소에 대해 "어디인지 알고 싶다. 나는 저것을 본 적이 없다"며 의문을 제기했다.
이후 라마포사 대통령은 정상회담 등 방미 일정을 마무리하면서 개최된 기자회견에서 "남아공에서 집단학살은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번 정상회담은 지난 2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백악관을 찾았을 때와 같은 '파국' 양상은 아니었지만, 이견이 있거나 민감한 의제는 취재진이 없는 상황에서 조용히 논의하는 보통의 외교 회담과는 달랐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악명 높았던 백인들의 흑백차별 정책을 폐지한 만델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계승자로 불리는 라마포사 대통령 앞에서 백인들의 역차별 의혹을 제기함으로써 민감한 인종 문제를 건드린 점은 트럼프식 '파격 외교'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월 남아공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할지에 대해 질문받자 "미국이 없으면 그것은 이전과 같은 의미를 갖지 못한다"고 답했다.
이날 회담장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남아공 태생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자리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