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AI) 인재 강국 도약을 위해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과기정통부는 21일 서울 마포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연수센터에서 AI 핵심 인재 양성 정책 방향을 논의하는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하고,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약 265억원 규모의 AI 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AI 인재 양성이 단순한 개발자 육성을 넘어 국가 경쟁력 확보의 근간이라는 인식 아래 해외 최고급 인재 유치부터 국내 고급 인재 양성까지 전방위적 지원에 나선다.
우선 해외 최고급 AI 연구자의 국내 유치를 위한 'AI 패스파인더 프로젝트'에 5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확보한 글로벌 우수 인재는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에 선정된 팀에 우선 배정해 세계적 수준의 AI 모델 개발에 기여하도록 할 방침이다.
약 100억원 규모의 '글로벌 AI 챌린지(AI Champion)' 대회도 개최된다. 정부는 상반기 내에 챌린지 방식과 대회 시기 등을 담은 계획을 공고할 예정이다.
기존 AI 인재 양성 사업도 대폭 확대된다. 국내 AI 신진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인 'AI 스타펠로우십'에 30억원을 추가 투입해 3개 과제를 더 선정하고, 생성AI 기업-대학 연계 인재 양성 사업인 '생성AI선도인재양성' 사업에도 35억원을 들여 3개 과제를 추가 선발한다.
이와 함께 무학비·무강사·무교재의 '3무(無) 교육' 방식으로 혁신적 AI·SW 교육을 제공하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에도 50억원의 추경 예산을 투입해 100여명의 학생을 추가로 선발할 계획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추경을 세계 최고 수준의 AI 핵심 인재를 양성하고 확보하기 위한 마중물로 삼고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며 "우리가 AI 인재 부국이 되어 AI 글로벌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대응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