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막혀서 못 살겠다"…머스크 데이터센터에 뿔난 주민들 결국

가스 터빈 수십 대 가동하며 오염물질 배출
일각선 기대했던 일자리 효과 미미하단 주장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미국 테네시주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가동 중이다. 이 가운데, 해당 시설로 인한 공해 배출에 지역 주민의 피해와 반발이 거세다. 19일(현지시간) 미 CNN과 NBC 방송 등 외신은 xAI의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가 들어선 테네시주 멤피스 서남부 지역 주민들이 이 시설에서 내뿜는 대기 오염 물질로 인해 "숨이 막힌다"고 호소하며 시설 가동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지난해 머스크는 이 지역의 522에이커(211만㎡) 규모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이 시설을 '콜로서스'로 명명했다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지능 훈련 시스템"이라고 자랑했다. AFP·연합뉴스

앞서 지난해 머스크는 이 지역의 522에이커(211만㎡) 규모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이 시설을 '콜로서스'로 명명했다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지능 훈련 시스템"이라고 자랑했다. AF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앞서 지난해 머스크는 이 지역의 522에이커(211만㎡) 규모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건립하고 이 시설을 '콜로서스'로 명명했다며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지능 훈련 시스템"이라고 자랑했다. 하지만 AI 훈련을 위한 슈퍼컴퓨터를 가동하는 데 엄청난 전력이 소모되는 탓에 xAI는 수십 대의 가스 터빈을 설치해 자체 발전하며 전력을 충당하고 있다. 문제는 가스 터빈을 가동할 때 나오는 물질이 주민 건강을 악화시킨다는 것이다. 가스 터빈을 가동하며 천식 등을 유발하는 질소 산화물과 발암 물질인 폼알데하이드, 폐를 통과해 혈류로 들어갈 수 있는 초미세먼지 등이 대기로 다량 배출된다.


지역 환경단체가 지난 3월 촬영한 항공 사진에 따르면, xAI는 이 지역에 35개의 가스 터빈을 설치했으며 4월에 촬영한 열화상 사진에는 33개의 터빈이 가동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에서 4.8㎞ 떨어진 곳에 거주하는 폐 질환자 새라 글래드니는 xAI 시설에 대해 "우리의 건강과 지역사회의 안전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라고 비판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미국 테네시주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가동 중이다. 이 가운데, 해당 시설로 인한 공해 배출에 지역 주민의 피해와 반발이 거세다. 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미국 테네시주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건설해 가동 중이다. 이 가운데, 해당 시설로 인한 공해 배출에 지역 주민의 피해와 반발이 거세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환경단체는 xAI의 가스 터빈이 대기 오염물질 배출 허가도 정식으로 받지 않았으며, 당국이 1년 미만으로 운영되는 임시 터빈에 허가 없이 가동을 허용하는 법적 허점을 이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역 주민들과 환경단체 활동가들은 xAI 시설의 추가 확장을 막기 위한 싸움을 지속할 것이라면서 "우리는 깨끗한 공기를 마실 권리가 있다"고 말했다. CNN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의 거대 기술기업들이 AI 산업 발전을 가속하고자 하는 가운데, 향후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지역 곳곳에서 비슷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 가운데, 지역 내 xAI 시설 구축 유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한 폴 영 멤피스 시장은 최근 xAI가 가스 터빈 12개를 철거했고 나머지도 향후 철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폴 영 시장은 xAI 시설 덕분에 수백 개의 고임금 일자리와 약 3000만달러(약 417억원)의 세수 증대 등 혜택이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일각서는 실제로는 일자리 창출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이 지역 출신의 민주당 소속 주(州) 하원의원 저스틴 피어슨은 "데이터센터는 일반적으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지 않다"며 "현지 주민들에게 제공될 대부분의 일자리는 청소나 보안 업무 일부로 제한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앞서 가스 터빈 철거와 관련한 구체적 일정은 불분명해 향후 논란이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