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로 인한 주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의료 상담 창구를 운영한다.
광산구는 18일 "대형 화재로 인한 장시간 연기 배출로 신체 이상이나 심리적 불안을 호소하는 주민들을 위해 심리 상담과 병원 연계 등 의료 지원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상담 창구는 이재민이 임시 거주 중인 광주여자대학교 체육관을 포함해 광산구청 1층, 하남3지구 옛 보건소 등 3곳에 설치됐다.
이번 화재로 인해 현재까지 108세대 203명이 임시 거주 시설로 대피한 상태다. 이 가운데 두통이나 호흡 곤란 등 신체 이상을 호소한 주민은 53명으로 집계됐다.
광산구는 화재 직후부터 인근 아파트 단지와 광주송정역을 중심으로 방진 마스크 2만3,000여개를 배부했고, 18일 오전에는 추가로 1만개를 해당 지역 상가와 아파트 단지에 지원했다. 분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 살수차도 운영 중이다.
광산구는 향후 피해 주민에 대한 보상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금호타이어 측과 보상 절차 및 방식에 대해 협의할 예정이다.
박병규 구청장은 "주민 건강과 재산에 대한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종합 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17일 오전 7시 11분께 생고무와 화학 약품을 혼합하는 정련 공정 중 발생해 인접 구역으로 확산했으며, 2공장(서쪽 공장)의 60~70%를 태우고 31시간 40분 만인 18일 오후 2시 40분께 주불이 진화됐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