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오월을 쓰다'…사상 첫 대행 45주년 5·18 기념식

대통령·총리 궐위에 이주호 권한대행 참석
이재명·이준석·권영국 대선 후보 등 참여해
"오월 정신 되살려 대화·타협 나서야할 때"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 등이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개혁신당 이준석, 민주노동당 권영국 대선 후보 등이 18일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제45주년을 맞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18일 오전 10시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거행됐다.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열린 기념식에는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5·18 민주유공자와 유족, 각 정당 대선 후보 정·관계 주요 인사, 학생 등 2,500여 명이 참석했다.

대선 후보 중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권영국 민주노동당 후보 등 3개 정당 후보가 참석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불참했다.


역대 기념식에는 대통령 또는 총리가 정부 대표로 참석했으나, 이날 기념식에는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이 권한대행이 자리를 지켰다. 역대 5·18 정부 기념식이 대통령 궐위 상태에서 치러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빚어진 논란 탓에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아 기념식에 참석하지 못했다.

기념식은 국민의례, 경과보고, 여는 공연, 기념사, 기념 영상, 대합창,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등 순으로 40분간 이어졌다. 여는 공연인 '영원한 기억'에선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실제 주인공인 문재학 열사를 재조명했다.


항쟁 마지막 날인 1980년 5월 27일 새벽 전남도청을 지키다 산화한 '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의 삶도 고인을 기억하는 친구의 목소리를 통해 조명됐다. 가수 이정권은 로이킴의 곡 '봄이 와도'를 노래하며 민주 영령들을 넋을 달랬다.


이 권한대행은 "1980년 5월, 광주는 평범한 학생과 시민들이 민주·정의·인권의 가치를 목숨 바쳐 지켜낸 역사의 현장이었다"며 "광주의 역사를 넘어 우리 모두의 역사다. 대한민국은 지금 곳곳에 갈등과 분열이 깊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45년 전 오월의 광주가 보여주었던 연대와 통합의 정신은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 가르침이다"며 "우리 모두의 삶 속에 끊임없이 오월의 정신을 되살려 대화와 타협으로 진정한 국민통합의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기념식은 참석자들은 각자 옆 사람의 손을 맞잡고 앞뒤로 흔들거나, 움켜쥔 주먹을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는 것으로 마무리됐다.





호남취재본부 민찬기 기자 coldai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