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너무나 아픈 추억 떠오른다"…박관현 열사 묘역서 눈시울 붉혀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18 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참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 참배했다.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김기현·이정현·양향자 공동선대위원장 등이 함께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박관현 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박관현 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김 후보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참배 후에는 묘역으로 이동해 1980년 광주항쟁 당시 전남대 총학생회장이었던 고 박관현 열사의 묘 앞에서 묵념했다.


김 후보는 이 자리에서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박 열사는 1978년 전남대 법학과에 입학하며 민주화 투쟁 길을 걸었고, 신군부가 비상계엄을 발령하자 2년간 도피 생활을 하다 1982년 4월 경찰에 붙잡혔다. 내란죄 등으로 5년형을 선고받고 광주교도소에서 5·18 진상 규명 등을 요구하며 옥중 단식을 하다 같은해 세상을 떠났다.


김 후보는 1986년 5월 직선제 개헌투쟁을 하다 구속돼 1988년 3월 광주교도소에 입감됐다가 같은해 10월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당시 김 후보는 박 열사가 사망한 독방에 갇힌 인연이 있다.


김 후보는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며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했다.


김 후보는 초선 국회의원 때부터 거의 매년 박 열사 묘소를 참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들은 이날 김 후보를 향해 "내란 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며 항의하기도 했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박관현 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와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박관현 열사 묘역에서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국민의힘은 최근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을 주도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가 하루 만에 취소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김재원 국민의힘 대선 후보 비서실장은 지난 15일 "김 후보를 지지하는 전직 의원 모임에서 (정 전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해주면 좋겠다고 캠프에 알렸고 그걸 제가 취합해서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 부주의로 미처 확인을 못 했다"고 사과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