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적인 진보 진영 스피커인 유시민 작가가 6.3 대선 예상 득표율을 언급해 주목받고 있다. 지난 13일 경인방송에 따르면 유 작가는 이날 인천에서 열린 '대통령 노무현을 말하다' 강연에서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최소한 55%,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25~35%, 나머지 후보들이 10% 안팎으로 득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 작가는 이번 예측을 12.3 비상계엄 이전인 지난해 6월 발표된 한국갤럽의 역대 대통령 선호도 조사에 근거해 말했다. 갤럽이 지난해 3월 22일부터 4월 5일까지 전국 13살 이상 1777명을 대상으로 '가장 좋아하는 역대 대통령'이라는 주제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3%포인트) 노무현 전 대통령이 31%로 가장 많이 꼽혔고, 박정희 전 대통령(24%), 김대중 전 대통령(15%)이 뒤를 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9%, 윤석열 당시 대통령은 2.9%, 이승만 전 대통령은 2.7%, 박근혜 전 대통령은 2.4%, 이명박 전 대통령은 1.6%, 김영삼 전 대통령은 1.2%, 노태우 전 대통령은 0.4%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9.8%는 특별히 좋아하는 대통령이 없다고 답했다.
그가 이 후보의 득표율로 제시한 55%는 노무현·김대중·문재인 전 대통령을 좋아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을 산술적으로 더한 수치다. 또 김 후보 득표율의 최솟값으로 제시한 25%는 박정희 전 대통령을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율(24%)과 유사하다.
유 작가는 "전직 대통령 선호도 조사는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다. 대통령은 가장 널리 알려진 분이고, 그 사람의 삶이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지 국민들 대부분이 알고 있다"며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판단과 감정이 있는 것이고, 어떤 대통령을 제일 좋아한다면 자기가 그런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이라고 밝혔다.
유 작가는 "전직 대통령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라 여야 구도가 변화했다"며 "민주당 출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선호도가 과반 수준이 됐을 때쯤 민주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다"고 했다.
다만 민주화 이후 역대 대선에서 55%에 달하는 득표율을 보인 후보는 없었다. 지난 2012년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가 51.55%를 기록해 최초로 과반 득표했다. 득표수로 보면, 지난 2022년 20대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가 1639만 4815표(48.56%)를 얻어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당시 이 후보는 1614만 7738표(47.83%)를 얻어 0.73%P 차이로 석패했다.
민주당에서는 선거 후반으로 갈수록 이 후보와 김 후보 지지층의 막판 지지율 결집이 이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민석 민주당 상임공동선대위원장은 15일 "이재명·김문수 후보의 양자 또는 3자 대결 격차는 서서히 줄어들 것으로 본다"며 "치열한 백병전에 대비한 긴장과 각오로 민주 진영의 전열을 정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른바 '압도적 정권교체론'에 대해선 "당에서 공식적으로 압도적 승리라는 방향과 슬로건을 정리해본 적이 없고, 개인적으로 한 번도 그런 내용에 동의해본 적 없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