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가 최근 광주 북구 탄소중립지원센터,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팀과 공동으로 '기후변화가 광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제6차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전남대학교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전남대학교에서 기후변화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지역 차원의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한 학술 세미나가 마련됐다. 이번 세미나는 지역경제와 기후위기라는 두 복합적 문제를 학문적으로 연결하며, 광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고민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장으로 평가된다.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는 최근 광주 북구 탄소중립지원센터, 전남대학교 경제학과 4단계 BK21 교육연구팀과 공동으로 '기후변화가 광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제6차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전환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그동안 국가 단위에서 논의돼 온 기후변화의 경제적 영향을 지역 차원에서 분석하고, 지역 현실에 맞는 대응 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기획됐다. 주최 측은 광주 지역의 산업 구조와 에너지 소비 양상을 중심으로 정량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분석을 통해, 향후 정책 방향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세미나는 2개의 발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발제에서는 변장섭 학술연구교수가 '기후변화가 광주의 대표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변 교수는 기술과 정책 수준이 현재와 같을 경우, 광주의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이 산업 간 연관효과를 통해 2050년까지 최대 1조5,017억원의 생산액 감소를 겪을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이는 기후 위기에 대한 수동적 대응이 지역 산업 기반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수치로 보여준 것이다.
두 번째 발제에서는 이드미트리 학술연구교수가 '기후변화가 광주의 가정 부문 전력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교수는 기온 상승으로 인해 광주 지역의 주거용 전력 소비량이 2021~2040년 약 34.2GWh, 2041~2050년 사이에는 약 42.6G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냉방 수요의 증가 등 생활환경 변화에 따른 전력 수요의 구조적 확대를 예측한 결과다.
이어진 종합토론에는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안지영 과장,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고범석 부센터장, 전남대학교 경영학부 이수열 교수, 전남대학교 경제학부 전우영 교수가 참여해 지역경제와 에너지 정책의 접점을 다각도로 논의했다.
토론자들은 기후변화 대응 초기에는 지역경제에 부담이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기술 발전을 통해 생산비용 절감 및 물가 안정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과 같은 제도적 기반을 활용해, 분산형 전력공급과 전력직거래 확대가 본격화되면 지역 경제에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배정환 지역개발연구소장(전남대학교 경제학부 교수)은 "이번 세미나는 기후 위기 대응이 국가 단위를 넘어 지역 차원에서도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임을 재확인하는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개발연구소는 지역경제, 기후변화,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사회 현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