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한국 내에서 일어나는 중국인 혐오가 우려되는 수준이라고 공식 보고서를 냈다. 최근 보수층과 일부 정치권을 중심으로 '반중'과 중국인 혐오가 극심해진 와중에 나온 유엔의 경고다. 중국인의 탄핵 집회 다수 참여, 부정선거 개입설과 같은 가짜뉴스가 등이 온라인 커뮤니티로 급속히 퍼지면서 반중 여론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유엔이 한국 내에서 일어나는 중국인 혐오가 우려되는 수준이라고 공식 보고서를 냈다. 최근 보수층과 일부 정치권을 중심으로 '반중'과 중국인 혐오가 극심해진 와중에 나온 유엔의 경고다. 윤동주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13일 유엔이 발표한 인종 차별철폐위원회 보고서는 최근 한국 내 중국인에 대한 혐오 발언 증가에 대해 공식적으로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은 정기적으로 인종 차별철폐위원회로부터 국가보고서 심의를 받아왔다. 이번 심의는 지난 2018년 12월 이래 7년 만에 진행됐다. 위원회는 "이주민, 망명 신청자·난민, 중국계 사람들에 대해 온·오프라인에서 인종차별적 증오 발언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 대해 우려를 재차 표명한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 난민, 중국인에 대한 차별적·혐오적 발언과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련 법률 개정과 공공 교육 캠페인 등 실질적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유엔은 중국인뿐만 아니라 무슬림, 이주노동자, 탈북자 등에 대한 차별도 우려되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중국인에 대한 혐오는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으로 확대되면서 우려 수준으로 도달하고 있다. 건국대 인근 '양고기꼬치 골목'에서 중국인을 겨냥한 폭언과 물리적 충돌이 발생하면서 오프라인에서도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혐오와 차별, 폭력이 보고됐다.
유엔의 권고로 인해 차기 정부의 대중 외교 관계 개선에 적지 않은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부는 이번 유엔의 경고에 대해 대책을 모색 중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보고서에 대해 "그간 우리 정부가 인종차별 철폐 및 외국인 권리 증진을 위해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기울인 노력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인종 차별철폐위원회의 관련 질의에 성실히 답변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외교부는 향후 관계부처들과 함께 이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향후 정부가 관련 노력을 강화해나감에 있어 참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한국 사회에서 이주민, 난민, 중국인에 대한 차별적·혐오적 발언과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음을 지적하고 관련 법률 개정과 공공 교육 캠페인 등 실질적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한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이날 대구 동성로 유세에서 과거 논란이 됐던 '중국에 셰셰' 발언을 재차 언급하며 "중국에도 셰셰하고 대만에도 셰셰했는데 틀린 말을 한 것이냐"며 '친중 논란'에 대해 강하게 반발했다. 이 후보는 "일본 대사에게도 '셰셰'하려다가 못 알아들을 것 같아 '감사하무니다'라고 했다"고 말했다. 향후 대중 외교에서 실용주의를 펼쳐야 한다는 입장을 전한 것이다. 반면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의 대중 외교는 상호존중과 규범 존중에 기반한 외교를 표방하고 있다. 한중관계에서 한국의 국익과 주권을 우선시하며, 중국의 오만하거나 일방적인 태도에는 단호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