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뒤엔 재배지 60% 사라져"…'최고 인기 과일' 못 먹는 날 오나

크리스천에이드 보고서 "중남비 바나나 재배지 위험"

전 세계 최대 바나나 생산지인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해에서 기후변화로 2080년께엔 바나나 재배지 60%가 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이며 밀, 쌀, 옥수수에 이어 4번째로 중요한 식량 작물이다.


영국 자선 단체 크리스천에이드(Christian Aid)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기온 상승, 극심한 기상 이변, 기후 변화에 따른 해충 번성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와 같은 바나나 재배 국가를 강타해 수확량 감소 등 지역 사회를 황폐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픽사베이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바나나 찾기: 기후변화가 세계에서 가장 좋아하는 과일을 위협하는 방법' 보고서는 "지난 몇 년 사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등 주요 바나나 재배 국가에 폭염·폭우·가뭄으로 인한 해충 피해가 늘어나 바나나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바나나의 약 80%는 현지에서 소비되며, 4억 명 이상의 사람이 하루 섭취 칼로리의 15~27%를 바나나에 의존한다. 그러나 바나나는 기후변화에 민감한 과일이다. 기온이 20도 이하이거나 35도 이상일 경우 성장 속도가 느려지는 특징이 있다. 많은 물이 필요하지만, 물 빠짐이 좋은 토양에서 잘 자란다. 특히 캐번디시 바나나는 폭풍우에 취약하다. 강풍에 잎이 찢어지고 떨어지면 광합성이 훨씬 어려워진다.


기후변화로 인한 바나나 생산량 감소로 큰 피해를 겪고 있는 라틴아메리가 지역 바나나 재배 농가 주민들의 모습. 크리스천 에이드 제공.

기후변화로 인한 바나나 생산량 감소로 큰 피해를 겪고 있는 라틴아메리가 지역 바나나 재배 농가 주민들의 모습. 크리스천 에이드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또 기후 위기로 인한 곰팡이병 등도 바나나 재배지를 파괴하고 있다. 흑엽 곰팡이는 바나나의 광합성 능력을 80%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기온 상승과 불규칙한 강우와 홍수는 습한 환경을 좋아하는 이 곰팡이에게 최적의 서식 환경을 제공해 더욱 번성하게 한다. 재배지 전체의 나무가 한꺼번에 죽는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수출을 위해 캐번디시 단일 품종이 집중적으로 재배되는 등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것도 바나나의 멸종 위기를 부채질하고 있다. 크리스천에이드는 지금 같은 지구 온도상승이 지속할 경우 생산량 감소와 재배 농가 감소 등 악순환으로 2080년께엔 전 세계로 수출되는 바나나의 80%를 생산하는 지역의 바나나 재배 면적이 60%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에선 2023년 평균 기온이 1961∼1990년보다 1.39도 더 오르는 등 '지구 열탕화'로 인한 허리케인, 홍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크리스천에이드 정책 책임자 오사이 오지그호는 "바나나는 세계인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일 뿐만 아니라 수백만 명의 사람에게 필수적인 식량이기도 하다. 기후변화가 이 중요한 작물에 미치는 위험에 대해 우리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라고 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