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러시아 대사관 방문…"북러는 불패의 동맹"

모스크바는 안 갔지만…평양서 '러시아 챙기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9일 러시아 전승절 80주년을 맞아 평양 주재 러시아대사관을 방문해 북러 동맹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김 위원장이 러시아대사관을 찾은 것은 집권 이후 처음이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러시아대사관을 찾아 축하연설을 하며 "위대한 소련군대와 인민이 파시즘을 타승한 승리의 날이 인류의 운명과 미래에 미친 미증유의 중대한 영향과 영원한 의의"에 대해 피력했다.

그는 이어 "조로(북러)관계의 오랜 전통과 숭고한 이념적 기초, 불패의 동맹관계를 끊임없이 공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우리 당과 정부와 인민의 확고부동한 입장"을 천명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소련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전승절) 80주년을 맞아 9일 오전 딸 주애와 함께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소련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전승절) 80주년을 맞아 9일 오전 딸 주애와 함께 평양 주재 러시아 대사관을 방문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9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최선희 외무상도 이날 김 위원장을 수행하며 "새 시대에 진정한 전우관계, 백년대계의 전략적 관계로 승화된 조로 친선의 위력으로 두 나라의 자주권과 존엄, 인민의 평안과 행복, 지역의 평화와 안전을 적극 도모해 나가려는 강렬한 의지의 뚜렷한 과시"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나는 이를 두 나라, 두 인민 사이의 관계 발전사에 특기할 사변적인 시각으로 간주한다"며 "평양과 모스크바는 언제나 함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위원장이 축하 목적으로 외교공관에 방문한 사례는 전무하다. 김 위원장의 주북 재외공관 방문은 2016년 피델 카스트로 사망 때와 2018년 중국 관광객 32명이 북한에서 교통사고로 숨졌을 때 각각 쿠바대사관과 중국대사관에 조문한 것 외에는 전례가 없다.

북한은 김 위원장의 방문 사실을 러시아 열병식 시작 시각에 맞춰 공개했다.


통일부는 "러시아의 지속적인 전승절 참석 요청에도 북한 최고위급 인사의 모스크바 방문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러시아대사관을 찾아 러시아 체면을 세워주고 양국 밀착을 대내외에 부각했다"고 평가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