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의 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 사진 변환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활용하는 방식은 세대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서베이' 최신호에 실은 생성형 인공지능(AI)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보고서를 보면 생성형 AI 국내 사용자의 59.5%는 생성형 AI를 이용해 사진을 이미지로 변환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변환 기능을 이용한 이들 중 52.4%는 해당 이미지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혹은 메신저 프로필로 활용하거나 지인에게 공유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답했다. 30.9%는 변환 후 이를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SNS나 메신저 프로필로 사용한 이들의 비율은 60대가 32.8%로 가장 높았으며, 20대는 19.6%로 가장 낮았다. 반면 개인적으로 보관하거나 저장하는 비율은 20대가 37.7%로 가장 높았고 60대가 20.7%로 가장 낮았다. 이는 생성형 AI의 이미지 변환 기능을 사용한 이들로 모집단을 한정해 분석한 결과다.
생성형 AI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각 연령대 전체를 모집단으로 가정하고 생성형 AI가 변환한 이미지를 프로필 사진으로 쓴 이들의 비율을 계산해보면 20대가 17.1%로 가장 높았다. 그다음으로는 30대 16.3%, 40대 10.7%, 50대 6.5%, 60대 3.4%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율은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최근 1개월 이내에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이들은 57.2%였고, 이 가운데 생성형 AI를 처음 쓴 시기가 최근 한 달 이내인 이들은 37.0%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언론진흥재단은 "1달 이내 생성형 AI 이용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최근 이슈가 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변환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생성형 AI 사용자에게 용도(복수 응답)를 물었더니 정보 검색이 81%로 가장 많았다. 이어 ▲글쓰기 및 다듬기 51.1% ▲사진·이미지 생성 및 보정 51.0% ▲외국어 번역 42.1% 등의 답이 이어졌다. 글을 쓰거나 다듬기 위해 AI를 사용한다고 답한 이들의 비율을 연령별로 분석했더니 20대가 68.3%로 가장 높았고, 30대 60.0%, 40대 48.3%, 50대 37.6%, 60대 29.3%였다.
언론진흥재단은 글쓰기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비율이 저연령층에서 높은 것에 대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부담감 증가 또는 문해력 수준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21일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가 온라인으로 실시했다.
오픈AI는 지난 3월 말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인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을 공개했다. 이 모델이 공개되자마자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를 모방한 이미지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