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쁠 때 후루룩 먹었는데…"조기 사망 늘린다" 연구 결과 '화들짝'

미국·영국, 초가공식품 때문에 '조기 사망' 급증
"일반화할 수 없어" 지적도

라면과 햄, 탄산음료, 시리얼, 가공육 등 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미국 예방 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최근호에 실린 브라질 오스왈도 크루즈 재단의 에두아르도 닐슨 박사 연구팀의 연구에 대해 보도했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 영국, 캐나다, 멕시코, 호주, 브라질, 칠레, 콜롬비아 등 8개국 국민의 평균 식단에서 초가공 식품 비율이 10% 증가할 때마다 75세 이전에 사망할 위험이 3%씩 높아진다.

초가공 식품은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과 인공 감미료가 다량 포함돼 원재료가 큰 폭으로 가공 또는 변형된 음식을 의미한다. 패스트푸드, 시리얼, 인스턴트라면, 탄산음료, 스낵류, 가공된 고기 제품(핫도그, 소시지 등), 레토르트 냉동 제품 등이 있다. 게티이미지

초가공 식품은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과 인공 감미료가 다량 포함돼 원재료가 큰 폭으로 가공 또는 변형된 음식을 의미한다. 패스트푸드, 시리얼, 인스턴트라면, 탄산음료, 스낵류, 가공된 고기 제품(핫도그, 소시지 등), 레토르트 냉동 제품 등이 있다. 게티이미지

원본보기 아이콘


초가공 식품은 방부제, 색소 등의 식품 첨가물과 인공 감미료가 다량 포함돼 원재료가 큰 폭으로 가공 또는 변형된 음식을 의미한다. 패스트푸드, 인스턴트라면, 탄산음료, 스낵류, 가공된 고기 제품(핫도그, 소시지 등), 시리얼, 레토르트 냉동 제품 등이 있다.


초가공 식품의 섭취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은 콜롬비아였다. 초가공 식품 몫은 전체 칼로리 섭취량의 15%가량에 불과하다. 반면 미국은 54%, 영국은 53%로 칼로리 섭취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초가공 식품 섭취로 인한 조기 사망 비율의 경우 콜롬비아에서는 4% 선에 그친 반면 미국과 영국에서는 각각 14% 안팎에 달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2018년 초가공 식품 섭취에 따른 조기 사망자가 미국에서는 12만4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영국의 경우 1만8000명으로 추정됐다.

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할수록 조기 사망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연구 책임자인 닐슨 박사는 "여러 첨가제, 인공 성분 때문에 초가공 식품은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며 "각국 정부는 초가공 식품 소비를 자제하고 최소한으로만 가공된 식재료에 기반한 전통 식단을 장려하는 정책이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연구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영국의 한 응용통계학 교수는 "이 연구에는 많은 수학적 가정이 있어 결과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며 "조기 사망의 원인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 수 없다"고 했다. 또 초가공 식품에 속하는 식품의 종류가 많아 이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