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2030 폐업률 가장 높은 업종은 식당"

농협은행·카드 데이터 분석 결과
창업 대비 폐업률 127.5% 기록
일반 주점도 99.1%
서울 창업 청년 생존율, 지방보다 높아

청년 자영업자들이 창업했다가 가장 많이 문을 닫은 업종은 식당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 초기 청년들은 다른 연령대보다 재정적으로 더 큰 어려움을 겪었다. 지역별 격차도 뚜렷했는데 지방에서 창업한 청년들의 폐업률이 수도권에 비해 높았다.


"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원본보기 아이콘

28일 NH농협은행과 NH농협카드가 2021년 1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금융거래(여·수신) 정보와 가맹점(정상 및 폐업) 정보를 분석한 결과 최근 3년 동안 청년(2030세대) 폐업자 수와 창업 대비 폐업률이 증가하고 있다. 폐업자 수는 농협카드 해지(폐업) 가맹점의 대표자로 등록된 고객 수가 기준이며, 창업 대비 폐업률은 농협카드 신규 등록(창업) 가맹점 수 대비 해지(폐업) 가맹점 수 비중이다.

"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원본보기 아이콘

2021년 1월 폐업자 수는 약 6000명에서 지난해 8월 9000명으로, 폐업률은 50%에서 62%로 증가했다. 3년 동안 가장 높은 폐업률을 보인 때는 2024년 1월로 약 90%에 이르렀다. 이달에는 폐업자 수도 1만2000명을 넘어 3년간 가장 많은 폐업자가 나왔다. 농협은행은 "창업 대비 폐업률은 단순 폐업률과 달리 현재 시장의 경제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경기 불황기에 해당 수치가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2023년 9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년간 창업 대비 폐업률을 조사한 결과 청년 자영업자 창업 대비 폐업률이 가장 높은 업종은 음식점(127.5%)이다. 해당 기간 청년들이 100개의 식당을 열 때 청년이 창업했던 127개 식당이 문을 닫았다는 말이다. 일반주점의 경우 99.1%를 기록해 2위에 올랐다. 농협은행은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로 인해 외식 소비가 위축된 것에 대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기성복점, 커피전문점, 편의점, 휴게음식점의 경우 타 연령대와 달리 청년 세대에서만 폐업률 순위 10위 안에 든 업종이다. 타 연령대에서 폐업률 1위는 슈퍼마켓(181.7%)이었으며 뒤이어 일반음식점(169.4%), 화장품점(138.3%), 일반주점(136.2%), 스포츠용품점(128.1%)이 자리했다.


청년 자영업자들은 지역별로도 격차를 보였다. 창업 대비 폐업률 1위를 차지한 지역은 경남(69%)이다. 2위는 울산(68%), 3위는 광주(67%)였다. 경남과 울산은 타 연령대에서도 각각 4위와 1위를 차지했다. 반면 서울의 경우 청년 세대에서 17위(58%)로 폐업률이 가장 낮았다. 타 연령대에선 11위(88%)에 해당했는데 이는 서울에서 창업한 청년의 경우 생존율이 타 연령대보다 높다고 볼 수 있다.

"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원본보기 아이콘

청년 세대는 특히 창업 초기(5년 이하)에 높은 폐업률을 보였다. 영업 기간별 폐업과 정상 가맹점 수 비중을 확인해보니 청년 세대는 1~5년 차에 폐업 가맹점 비중이 68%로, 타 연령대(60%) 대비 8%포인트 높았다. 이는 청년 자영업자가 창업 초기에 타 연령대와 비교해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폐업에 내몰린 청년 자영업자들은 남은 돈은 매우 적고 연체액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 가맹점주의 금융자산 및 거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폐업 가맹점주(285만원)는 정상 가맹점주 (387만원) 대비 수신잔액의 경우 26% 적었다. 대출 연체금액의 경우 각각 2084만원과 1933만원으로 폐업 가맹점주들이 8% 더 많았다. 카드 연체 금액도 362만원과 275만원을 기록해 폐업 점주들이 정상 가맹점주에 비해 32% 더 많았다.


"너무 많이 차린다 했더니"… 청년들 뛰어들었다 '한숨' 쉬게 만든 업종 원본보기 아이콘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