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조선, 발주 절벽에도 1분기 실적 방어…中추격에 '포트폴리오 다각화' 과제

'빅3' 1분기 영업익 8272억원 전망
LNG선·군함 중심 고부가 전략 주효
탄소 규제에 선박 개조 시장 급부상
친환경·디지털 전환 경쟁력 절실

글로벌 발주 절벽 속에서도 국내 조선업계가 올해 1분기 실적 방어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군함 등 고부가 선종에 집중한 전략이 위기 속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는 평가다. 다만 업계 안팎에서 중국 조선사의 추격이 빨라지고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7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가 집계한 올해 1분기 글로벌 선박 수주량은 779만CGT(234척)로 전년 동기 1632만CGT(710척) 대비 52% 감소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는 209만CGT(40척·27%)로 전년 동기 대비 55% 줄었다. 경기 둔화와 해운 물동량 축소가 맞물리며 주요 선종에 대한 발주가 눈에 띄게 줄어든 모양새다.

한화오션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 전경.

한화오션이 인수한 미국 필리조선소 전경.

원본보기 아이콘

하지만 국내 조선업계는 수주 낙관론을 거두지 않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HD한국조선해양 · 한화오션 ·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 '빅3'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8272억원 수준으로, 전년 동기보다 184.2% 증가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회사는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 2조원을 넘어서며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기록한 바 있다.


실적 호조의 배경에는 고부가가치 선박 중심 전략이 있다. 우리나라 조선업체들은 LNG 운반선, 대형 컨테이너선, 군함 등 기술 난도가 높은 선종을 집중 공략해왔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수주량 확대보다 수익성 확보가 더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선별 수주 기조를 유지해 온 것이 주효했다"고 말했다. 특히 한화오션은 글로벌 방산·군수 분야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지난해 한화시스템과 미국 필리조선소를 인수하며 북미 시장에 진출한 데 이어, 미 해군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수주하며 연간 약 20조원 규모의 방산 수요 확보에 나섰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배출 규제 강화도 국내 조선업계에 기회 요인이다. 노후 선박의 개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세계 선박 개조 시장은 2028년까지 약 42억달러(약 5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 조선사들 역시 기존 신조 중심 사업모델에서 선박 개조와 친환경 개량 영역으로도 눈을 돌리고 있다.

K조선, 발주 절벽에도 1분기 실적 방어…中추격에 '포트폴리오 다각화' 과제 원본보기 아이콘

반면 중국 조선업체들의 기술력 향상과 가격 경쟁력 강화는 우리 조선업계가 맞닥뜨린 최대 위협이다. 일부 중국 조선소는 LNG선·컨테이너선 수주에서도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선박 건조 기간 단축과 자국 해운사 수요 기반의 내수 시장도 강점이다. 실제로 지난해 중국은 전 세계 조선 수주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며 점유율 격차를 더 벌렸다. 반면 한국은 고부가 선종에 집중하면서도, 양적인 점유율에서는 점차 중국에 밀리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


업계는 '수익형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으로 난관을 돌파한다는 전략이다. 단기적으로는 고부가 선종 수주로 실적을 방어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개조·친환경 선박, 방산, 해양플랜트 등으로 외연을 넓힌다는 포석이다. 수주 총량이 줄어드는 국면에서는 '얼마나 많이'보다 '얼마나 남기느냐'가 중요한 까닭이다. 조선산업 관계자는 "과거처럼 대량 수주를 통한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구조로 바뀌었다"며 "친환경 기술, 디지털 설계 역량, 전후방 통합 능력 등 전방위적 경쟁력을 갖춰야만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조선사들이 살아남기 위해선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인력 확보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