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개포자이프레지던스 국평, 39억원으로 '개포동 최고가'…강남 깨우나

개포동 국평 역대 최고가 경신…전고점보다 7억 ↑
거래 2년간 사실상 '실종'…이전고시 이후 신고가
토허구역 규제 속에도 상급지 강력한 실수요 사례
"개포→강남권 신축 전반으로 시세 자극 가능성"

서울 강남구 개포동의 대표 재건축 단지인 '개포자이 프레지던스'가 최근 개포동 일대 아파트 국민평형(국평) 최고가를 다시 썼다. 최근 이 단지는 재건축사업의 끝을 알리는 이전고시가 입주 2년 만에 나오면서 거래가 재개됐는데, 첫 거래부터 신고가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해제 후 모습을 드러낸 강력한 수요층이 개포동에서 다시 확인됐다"며 신고가 행진이 이어진다면 인근 지역으로 집값 상승세가 퍼지는 진원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전경. 연합뉴스.

개포자이 프레지던스 전경. 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한 달 만에 10억 '껑충'…개포동 일대 국평 신고가

17일 서울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복수의 공인중개업소에 따르면 개포자이 프레지던스의 전용 84㎡는 최근 39억원에 손바뀜되며 신고가를 썼다. 이는 같은 면적 기준 직전 최고가(2024년 8월 32억원)보다 7억원 높은 가격이다. 개포동 전체 아파트를 통틀어 국평 역대 최고가다. 그간 국평 기준 개포동 최고가는 디에이치퍼스티어아이파크와 개포주공5단지(각각 35억원)에서 나왔다. 개포동의 A공인중개업소는 "신고가를 기록한 매물은 로열동의 로열층"이라고 말했다.


이 단지는 지난 11일 강남구청의 이전고시 공고를 계기로 거래가 재개됐다. 소유권 등기 절차가 가능해지면서 그간 막혔던 대출도 가능해졌다. 신고가 거래도 이전고시 이후에 나왔다. 지난달만 해도 28억원 선에서 머물던 가격이 단숨에 10억원 넘게 뛰었다.

이 단지의 입주는 2023년 3월부터 시작됐지만 유치원 부지 보상 문제와 준공 무효 소송 등으로 이전고시가 지연되며 미등기 상태가 장기화했다. 소유권이 완전히 이전된 상태가 아니기에 주택담보대출이 막히고 재산권 불확실성이 커져 거래 자체가 실종된 상태였다. 수천 가구의 대단지임에도 2년간 거래가 15건에 불과했다. 개포자이프레지던스는 개포주공4단지를 재건축한 총 3375가구 규모의 초대형 단지다.

"토허구역 거래 말랐지만, 실수요는 여전히 단단"

서울시는 지난달 24일 강남 3구 전역과 용산구를 토허구역으로 묶었다. 토허구역으로 지정되면 무주택 세대원, 2년 실거주 의무, 기존 주택 처분 등의 규제가 적용된다. 규제 이후 토허구역 일대의 거래량은 메말라가고 있다. 4월 주간 아파트 거래 현황(15일 기준)을 보면 강남구 4건, 송파구 2건에 그쳤고 서초구와 용산구는 아직 단 한 건도 실거래 신고가 이뤄지지 않았다.


개포자이프레지던스도 토허구역 규제를 적용받는다. 그러나 신고가가 나온 것은 상급지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포동 일대 중개업소는 "규제 이후에도 이전고시만 기다리던 대기 수요자들의 문의가 다시 살아났고, 일부는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개포동의 B공인중개업소는 "2년간 억눌렸던 거래가 이전고시 공고를 계기로 뚫린 것"이라며 "개포자이프레지던스의 '진짜 가격'을 확인했기에 비슷한 가격대에 거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3000가구가 넘는 대단지인 개포자이프레지던스의 거래가 본격화되면서 주변 지역 집값도 들썩거릴 가능성이 크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자산관리컨설팅부 수석은 "최상급 입지에 대한 수요가 일시적인 매수심리와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가격의 하방과 수요가 견고하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양 수석은 "개포동의 인근 신축단지에서 가격 '키 맞추기' 현상 등 연쇄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며 "그렇게 될 경우 개포동 신축을 '동급'으로 여기는 다른 상급지 아파트 매도인의 눈높이도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개포자이프레지던스의 시세 움직임이 '개포동 대장 단지→인근 단지→ 강남권 전역'의 흐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