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벤처캐피탈협회(이하 VC협회)는 1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창업 생태계 위기 극복을 위한 벤처투자 활성화 과제' 정책토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더불어민주당 김한규, 김원이, 권향엽, 이재관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VC협회가 주관했다.
김한규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혁신 스타트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 정책 논의의 장으로서 이번 토론회의 의의를 강조했다.
김학균 VC협회장은 "세계 제1의 혁신 생태계 조성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코스닥 시장 활성화, 퇴직연금 등 벤처투자 재원 확대, 규제 개혁 및 세제지원 마련 등의 세부 과제 추진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뒤이어 발표에 나선 이정민 벤처기업협회 사무총장은 '대한민국 혁신을 위한 벤처생태계 활성화 과제'를 주제로 현재 벤처생태계가 직면한 위기 상황을 진단하고 ▲ 세제지원 확대를 통한 민간자금 벤처투자 촉진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한 퇴직연금 벤처투자 허용 ▲연기금의 벤처투자 의무화 등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김진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코스닥 신규 상장기업의 절반 이상이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 퇴직연금 벤처펀드 출자 허용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BDC) 도입 ▲벤처투자 관련 세제지원 확대 ▲모태펀드 신규 출자 예산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안동욱 미소정보기술 대표가 개인투자자의 벤처투자 접근성 확대를 위해 '개인 맞춤형 벤처투자 통합계좌' 도입과 함께 개인투자자를 위한 지원 정책 강화를 제안했다.
유상훈 한국벤처투자 본부장은 2025년 모태펀드 예산 규모와 주요 출자 분야를 소개하며 "앞으로 민간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벤처생태계의 조성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안재광 SBI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는 최근 높은 환율 변동성과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로 인한 벤처펀드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설명하며, 모태펀드 등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정책과 함께 투자 여력이 있는 신규 출자재원 발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강민경 법무법인 대정 변호사는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조세정책으로 ▲국내 법인의 벤처펀드 간접투자 시 최대 10% 세액 공제 ▲국내 법인의 창업·벤처기업 주식 양도차익 비과세 ▲개인투자자 대상 벤처펀드 출자 소득공제율 상향 등을 제시했다.
토론회를 준비한 VC협회 김종술 전무는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소중한 의견들이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VC협회도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