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식품기업들이 생산기지 확충을 위해 2조6000억원 이상의 투자를 단행하며 'K푸드 세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는 내수 시장의 성장 한계를 넘어서고 해외 수요 급증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다. 식품 기업들은 해외 소비자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을 고려, '생산 인프라'가 곧 K푸드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석이라고 판단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 , 오리온 , 대상 , 삼양식품 , 농심 , 롯데웰푸드 등 주요 식품기업 6곳은 국내외 생산시설 신·증설에 총 2조6158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오리온은 국내외 생산능력 확대를 위해 총 8300억원을 투입한다. 오리온은 한국 7개, 해외 11개(중국·베트남·러시아·인도) 등 18개의 생산 시설이 있다. 충북 진천에 4600억원을 들여 생산·포장·물류센터를 2027년까지 구축한다. 이 공장은 18만8000㎡(약 5만7000평) 부지에 연면적 14만9000㎡ 규모로 조성된다.
해외에선 러시아(2400억원)와 베트남(1300억원) 공장의 생산능력을 2배 이상 늘린다. 현재 러시아 트베리 공장은 가동률이 120%를 초과하며 초코파이 등 현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태다. 이번 투자로 파이·비스킷·스낵·젤리 등 총 16개 생산라인을 새로 구축하고, 생산능력도 현재의 2배 수준인 연간 7500억원 규모로 늘릴 계획이다. 1300억원을 투자하는 베트남에서는 하노이 옌퐁공장과 제3공장을 중심으로 쌀 스낵·파이·젤리 라인을 증설, 연 9000억원 규모 생산 능력을 확보한다.
CJ제일제당은 미국과 유럽 생산거점 구축에 총 8000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에 7000억원을 들여 북미 최대 규모의 아시아 식품 생산기지를 2027년 완공할 예정이다. 축구장 80개 규모(57만5000㎡) 부지에 조성되는 이 공장에서는 만두·에그롤 등을 중심으로 소비자 제품을 생산한다.
유럽에서는 헝가리 두나버르사니에 1000억원을 투자해 만두와 치킨 제품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11만5000㎡ 부지에 자동화 라인을 갖춘 이 공장은 내년 하반기부터 '비비고 만두' 생산을 시작하며, 향후 치킨 라인도 추가된다. CJ제일제당은 헝가리 공장을 활용해 중·동부 유럽 및 발칸반도 지역으로 진출해 유럽 사업 대형화를 본격화한다는 전략이다. CJ제일제당은 현재 전 세계 34곳에 식품 공장을 운영 중이며, 두 곳이 추가되면 36곳으로 늘어난다.
대상은 충남 아산에 722억원을 들여 신공장 부지를 확보할 예정이며, 폴란드에도 150억원을 투입해 연간 3000t 규모 김치 생산시설을 건설하고 있다. 일본, 필리핀, 미국 등지에 12개의 해외 생산기지를 운영 중인 대상은 유럽 수출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경남 밀양 제2공장과 중국 현지 공장 설립에 총 3838억원을 투입한다. 오는 6월 완공 예정인 밀양2공장에는 연간 최대 6억9000개의 라면을 생산할 수 있는 6개 라인이 갖춰져 완공 시 삼양식품의 연간 최대 생산능력은 기존 18억개에서 약 25억개로 확대된다. 삼양식품 밀양2공장은 미국 및 유럽 등 수출국의 물량을 담당하는 공장으로 활용해 수출 증가세를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삼양식품은 2000억원을 투입해 2027년까지 첫 해외기지인 중국 공장을 짓는다.
농심은 부산 녹산에 1918억원을 투자해 수출 전용 라면 공장을 신설한다. 동남아시아와 유럽 수출용 라면 생산 능력을 기존 5억개에서 10억개로 두 배 확대할 계획이다. 신규 공장은 기존 건면을 생산해 오던 녹산공장 인근 부지에 1만7000㎡(5100평) 규모로 설립된다. 내년 상반기 완공이 목표다. 농심은 미국, 중국에 공장이 있다.
롯데웰푸드는 현재 해외 7개국에서 20개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롯데웰푸드는 국내외 빙과 및 제과 생산설비 확장에 총 3230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올해 초 인도 푸네에 700억원 규모의 빙과공장을 가동했으며, 하리아나 공장에 빼빼로 생산 라인을 330억원 규모로 증설하고 있다. 국내 천안 공장에도 2200억원을 투자해 빙과 생산능력을 높일 계획이다.
이처럼 주요 식품사들이 글로벌 생산거점 확보와 설비 증설에 공격적으로 나서는 것은 내수 시장 성장 한계와 글로벌 수요 증가라는 두 가지 요인이 겹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최근 K푸드 열풍에 힘입어 미국, 유럽, 동남아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것도 이유로 꼽힌다.
세계 식품 시장 규모는 10조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생산 인프라를 먼저 구축한 기업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리쇼어링(국내 복귀) 정책과 유럽의 자국 생산 우대정책이 본격화할 경우 한국 식품기업의 현지화 전략도 중요하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K푸드 열풍으로 미국, 유럽,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생산 인프라를 먼저 구축한 기업이 글로벌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점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