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인은 봉사료 104%"…'관세전쟁' 보복 나선 중국인들

관세전쟁에 中서 반미감정 확산…자영업자도 나서
중국 당국도 애국심 고취하며 여론 자극 중

관세 전쟁으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이 가운데 중국에서 반미감정과 애국주의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일 최근 중국의 많은 자영업자가 미국인 손님에 대한 차별적 메시지를 담은 안내문을 게시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우한의 한 고깃집은 "오늘부터 우리 상점은 미국인 고객에게 봉사료를 104% 더 받는다"며 "이해가 안 된다면 미국 대사관에 가서 문의하라"고 적힌 안내문을 내걸었다.


104%라는 수치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부과하겠다고 한 관세율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서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중국인들이 민간 차원에서 일종의 보복 행동에 나선 것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와 비슷한 내용의 안내문을 내건 식당, 술집, 당구장, 쥬얼리 샵 등의 사진이 공유되고 있다.

자발적으로 미국산 수입품을 판매하거나 미국에 수출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자영업자도 있었다. 한 신발 제조업자는 더우인(중국의 틱톡)에서 앞으로 미국 사업파트너들과 거래하지 않겠다고 밝히는 영상을 게시하기도 했다.


“오늘부터 우리 상점은 미국인 고객에게 봉사료를 104% 더 받는다”고 적힌 중국 식당의 안내문 [이미지 출처=엑스(X·옛 트위터) 캡처]

“오늘부터 우리 상점은 미국인 고객에게 봉사료를 104% 더 받는다”고 적힌 중국 식당의 안내문 [이미지 출처=엑스(X·옛 트위터)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그는 "사업으로 돈을 버는 것보다 중요한 건 애국심"이라며 "손해를 보더라도 나는 물건을 (미국에) 수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스마트폰 판매업자는 애플의 아이폰을 매대에서 치우는 모습을 공개했다.


이에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애국적이다", "멋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반면 "오히려 할인해서 미국인이 방문해 중국산을 더 많이 사고 돈을 쓰게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사업 홍보를 위한 기회주의적인 행동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한편 중국 SNS에서는 중국의 가수 투훙강의 애국가요를 개사해 만든 '미국의 관세 인상 반대'라는 제목의 노래가 주목을 받기도 했다.


중국 당국도 이러한 분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SNS에 중국인의 애국심을 고취하거나 미·중 무역전쟁을 풍자하는 게시물을 연일 올리며 여론을 자극하고 있다.


치근 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엑스(X·옛 트위터)에 1953년에 촬영된 마오쩌둥의 영상을 게시했다.


당시 마오쩌둥이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이 전쟁이 얼마나 오래갈지 우리는 알 수 없지만, 얼마나 오래 가든 우리는 절대 굴복하지 않을 것이며 완전한 승리를 거둘 때까지 싸울 것"이라고 말하는 내용이 담긴 영상이다.


이 영상은 하루 만에 조회 수가 1000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