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PwC "중산층 시니어 주거시설 부재…민간참여 절실"

韓시니어 레지던스 시장 분석 및 전략
"한국형 시니어 주거모델 필요"

초고령사회에 진입하며 국내 시니어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이 시장을 키우기 위해서는 민간 참여와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슬기로운 시니어 주거생활-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을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9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내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를 제시해 국내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의 전략적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됐다.

보고서는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이 미개척 분야로 성장할 여지가 큰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자녀와 동거를 원치 않는 고령자가 많아지면서 시니어 레지던스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현재 국내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은 저소득·취약계층과 부유층의 양극단으로 형성돼 97%가 넘는 일반 중간층 시니어 수요를 흡수할 주거 시설이 부재하다"고 지적했다. 넓은 의미에서 요양시설을 포함한 시니어 주거 공급 규모는 전체 고령자(2024년 기준)의 2.7%를 차지하며, 요양시설을 제외한 주거 부문의 공급량은 약 0.23%에 불과하다. 이를 각각 1%, 3%까지 확대시키면 현재 공급량 대비 4.3배, 12.8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일본과 미국에서는 1960년대부터 시니어 주거 관련 노인복지 대책이 마련됐다. 일본의 경우 1960년대를 시작으로 2000년 개호보험법이 개정되면서 시니어 사업이 빠르게 성장했고, 2011년 '사코주'라 불리는 서비스형 고령자 주택이 본격 도입되며 민간 공급이 활발해졌다. 이 밖에도 미국을 중심으로 연속 돌봄형 은퇴자 주거단지(CCRC, Continuing Caring Retirement Community)를 비롯해, 대학연계형 은퇴자 주거단지(UBRC, University Based Retirement Community), 싱가포르의 세대공존형 주거모델 등이 시니어 주거모델의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꼽힌다.


보고서는 "해외 모델을 벤치마킹하되, 현재 거주지에서 노후생활을 보내고 싶은 '내 집에서 나이 들기' 트렌드와 기술 발달에 따른 에이지 테크 등을 적극 반영한 한국형 시니어 주거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해 실버스테이(중산층 고령가구 대상의 민간 임대주택) 도입과 민간의 시니어 레지던스 진입 규제 완화, 및 민간 자금 조달 지원 등을 담은 시니어 레지던스 활성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보고서는 "공급이 턱없이 부족한 시니어 레지던스 시장을 공공에만 맡기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민간 참여를 통해 일반 시니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주거시설과 서비스가 제공돼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상민 삼일PwC 금융부동산그룹 본부장은 "시니어 레지던스에 대한 진입규제 완화는 긍정적이나 민간 참여자에 대한 세제 혜택, 보조금 지급 등 보다 적극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시니어를 위한 주거와 요양 서비스가 연계되도록 요양 서비스에 대한 진입 규제 완화도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삼일PwC "중산층 시니어  주거시설 부재…민간참여 절실" 원본보기 아이콘




권현지 기자 hj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