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20분…국토부, '하이퍼튜브' 3년 개발 착수

3년간 127억원 투입

정부가 비행기보다 빠른 '하이퍼튜브' 개발에 나섰다. 목표는 시속 1200㎞, 서울~부산 20분 주파다. 현재 KTX로 같은 구간을 무정차 운행할 경우 1시간 52분이 소요된다.


국토교통부는 9일 "올해를 'K-하이퍼튜브' 원년으로 삼고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핵심기술인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2027년까지 3년간 총 127억원을 투입한다.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념도. 국토교통부 제공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념도. 국토교통부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튜브 속을 자석 힘으로 떠서 달리는 차세대 초고속 열차다. KTX(시속 300㎞)보다 4배 빠르다. 전자기력을 이용해 마찰 없이 이동하는 방식이다. 기상 영향도 적고 친환경적이다. 2013년 미국에서 '하이퍼루프'란 이름으로 개념이 제시됐고, 우리나라는 '하이퍼튜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이번 사업은 ▲자기부상·추진 시스템 ▲초전도 전자석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 등 4개 분야 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한다.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맡는다. 핵심은 고속 주행과 안정성 검증이다.


연구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민관 합동 TF(태스크 포스)도 운영한다. 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기술 성과를 점검하고 사업 방향을 조율할 예정이다.

하이퍼튜브 vs 기존 교통수단 비교. 국토교통부 제공

하이퍼튜브 vs 기존 교통수단 비교. 국토교통부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의 비행기' 하이퍼튜브의 첫걸음"이라며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했다. 윤 국장은 "우리나라는 불과 20년 전 고속철도 기술을 수입하던 나라에서 수출국으로 성장했다"며 "하이퍼튜브 기술 역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