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경제 개발 협정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3주년을 맞이해 유럽연합(EU)이 추가 제재를 발표한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 감싸기'에 화답하듯 푸틴 대통령은 이날 미국에 희토류 금속 분야에서 협력하자고 제안할 준비가 됐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이 설립한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나는 푸틴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미국과 러시아 사이에 이뤄질 주요 경제 개발 거래에 대해 심각한 논의를 진행 중"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대화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푸틴 대통령과 통화를 한 사실을 트루스소셜을 통해 알리면서 우크라이나 외에도 중동, 에너지, 인공지능(AI), 달러의 위력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고 소개한 바 있다.
이는 러시아에 강경 노선을 유지한 채 추가 제재안을 내놓은 유럽과 대조적인 행보다. 이날 EU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3주년을 맞아 러시아에 대한 16차 제재 패키지를 승인했다. 이 제재안에는 러시아산 알루미늄의 수입을 향후 12개월간 전년도 수입량의 80%로 제한한 뒤 수입량을 점차 감축해 2026년 말부터는 전면 금지하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 집무실(오벌 오피스)에서 미국을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함께 주요 7개국(G7) 전화 정상회의에 참여했다고 그의 트루스소셜에서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의는 G7 의장국인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3주년에 맞춰 소집했다"며 "내가 (미국) 대통령이었다면 전쟁은 시작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모두가 전쟁 종식이 목표라는 것을 표현했고, 나는 미국과 우크라이나 간 중요한 '주요 광물 및 희토류 거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우리는 이 협정이 매우 빨리 서명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는 '경제 파트너십'으로, 미국 국민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수백억 달러와 군사 장비를 회수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동시에 잔혹하고 야만적인 전쟁이 종식되면서 우크라이나 경제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친러시아 행보에 화답하듯 푸틴 대통령은 이날 미국에 희토류 금속 분야에서 협력하자고 제안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타스·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이날 러시아 국영방송 소속 파벨 자루빈 기자와 인터뷰하면서 미국과 다른 외국 파트너들에 희토류 개발을 공동으로 진행할 준비가 됐다고 했다.
특히 러시아의 새 영토에 매장된 희토류에 대해서도 미국 등 외국과 협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새 영토는 러시아가 2022년 2월 '특별군사작전' 이후 점령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영토를 말한다.
러시아가 보유한 알루미늄에 대해서도 미국과 공동 사업을 고려할 수 있다고도 했다.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와 미국이 국방비를 50% 삭감하는 합의를 이룰 수 있고 중국도 이에 동참할 수 있다며 "우리는 그것이 좋은 제안이라고 생각하고 논의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그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에 대해 대선 승리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고 비판했다.
한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화상통화를 통해 두 나라의 관계를 재확인했다. 시 주석은 푸틴 대통령과 화상통화를 한 후 중국과 러시아가 "함께 좋은 일과 나쁜 일을 겪은 진정한 친구(true friends)"라고 했다. 미국과 관세 조치를 주고받으며 대립 중인 중국이 최근 미국이 러시아와 급속도로 가까워지자 이를 견제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뉴욕타임스(NYT)는 중·러 지도자 간의 화상통화를 두고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크렘린으로 눈을 돌리면서 베이징과 모스크바 간의 충성심을 확인하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