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의 매각을 거부하고 있는 덴마크는 올해와 내년 방위비로 500억 덴마크 크로네(약 10조원)를 추가 편성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철회하지 않고, 러시아와 밀착 행보를 이어가면서 안보 위기감이 고조되자 이같이 결정한 것이다.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는 최근 기자회견을 통해 국방예산 추가 편성과 함께 군 당국에 조속한 무기 전달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프레데릭센 총리는 이번 증액을 통해 덴마크 국방비가 국내총생산(GDP) 3%를 넘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수년 만에 가장 위험한 상황에 놓여 있다"며 "국방부 장관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단 하나다. (무기를) 사고, 사고, 또 사라. 중요한 것은 오직 스피드"라고 강조했다.
이어 "최상의 무기를 구매할 수 없다면 차선책을 사야 한다"며 "우리가 원하는 무기를 구매하는 데 너무 오래 걸린다면 보다 신속히 인도될 수 있는 다른 것을 선택해야 한다"고 지시했다. 무기 조달 입찰에 소요되는 기간을 대폭 단축하겠다고도 예고했다.
이번 결정의 표면적인 배경은 러시아의 위협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그린란드 장악 계획, 이어진 미국의 유럽에 대한 국방 예산 지원 삭감, 미국과 러시아의 밀착 등 복합적인 원인도 함께 작용했다.
트룰스 룬드 포울센 덴마크 국방부 장관은 이번 증액으로 덴마크의 국방비 지출이 GDP 대비 3.2%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덴마크 방위비는 2022년까지만 해도 GDP의 1.1~1.3% 수준에 그쳤다. 전통적으로 덴마크는 오스트리아, 스웨덴, 네덜란드와 함께 유럽연합(EU)의 '재정 검소 4국'으로 꼽혔다.
앞서 덴마크는 북극에 3조원 규모(146억 크로네)의 방위비를 투입하기로 결정하기도 했다. 해당 예산에는 북극에 신규 해군 함정 3척을 배치하고, 4대의 장거리 감시 드론과 위성 감시 장비를 운용하기 위한 비용 등이 포함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