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 종전 시 中기업 동부 재건 주도 전망…한국에도 기회 확대"

20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키스 켈로그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회담에서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키스 켈로그 미국 대통령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가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열린 회담에서 대화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우크라이나 종전협상이 진전을 보이면서 전후 복구 사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 점령 지역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겠지만 국내 기업의 참여 기회도 확대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온다.


김화랑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2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움직임과 재건 사업의 새로운 국면' 보고서를 통해 "광범위한 피해를 본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러시아 편입 가능성이 고조됨에 따라 해당 지역 재건 사업에서 중국기업의 참여 우위가 예상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 국영 건설기업은 러시아와의 전략적 관계를 토대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와 연계해 우크라이나 동부 점령 지역의 전후 재건 사업에서 주도적 위치 선점과 경제적 영향력을 지속해서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했다.


2022년 러시아의 전면적 군사 침공 이후 우크라이나의 핵심 기반 시설에 대한 피해 규모는 약 1700억달러(약 244조545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울러 재건 비용은 약 486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김 부연구위원은 그간 한국과 우크라이나 정부 간 재건 사업협의를 통해 국내 건설기업의 참여 기회가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현지 재건 사업의 경우 비용 관리와 지정학적 리스크에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응 마련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생산 시설 파괴로 인한 자재 수급 제한 및 동시다발적인 사업 추진으로 인건비와 재료비 상승 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김 부연구위원은 "지정학적 상황을 고려해 나머지 지역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의 전문성과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결합한 민관체계 구축을 통한 진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라며 "건설 비용의 변동성 및 불확실성 증대 등 다양한 제약사항에 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함에 따라 정부 차원의 제도적·재정적 지원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강조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