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방준비제도(Fed) 당국자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았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는 이날 호주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관세는 물가를 완만하게 높일 것이고 지속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는 "논의 중인 다른 정책은 긍정적인 공급 효과를 가져올 수 있고 인플레이션에 하향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했다.
일부 경제학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와 불법 이민자 추방 등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월러 이사의 이날 발언을 Fed가 금리 인하를 주저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로 풀이했다.
월러 이사는 "지표는 현재 정책 금리 인하를 뒷받침하지 않는다"면서도 "2025년이 2024년과 비슷하게 진행된다면 올해 어느 시점에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3% 오르며 전달(2.9%)과 전망치(2.9%)를 모두 상회했다. Fed는 작년 9월부터 3번 연속 기준 금리를 인하한 뒤 지난달 4.25~4.5%에서 금리를 동결했다.
월러 이사는 "경제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항상 존재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하며 경제 상황에 대한 큰 불확실성에 직면하더라도 유입되는 데이터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직후에도 금리를 인상했고, 2023년 일련의 은행 파산 상황에서도 금리를 올린 사례를 언급했다. 경제적 불확실성이 있더라도 필요하다면 금리를 내리겠다는 발언이다.
이날 미셸 보먼 Fed 이사는 금리를 더 내리기에 앞서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데이터가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올해 인플레이션이 계속 둔화할 것으로 예상하지만, 기대하는 것보다 오래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특히 노동시장이 강력한 가운데 가격 안정에 대한 위험이 계속 커지고 있다고 본다"고 했다.
월러 이사와 보먼 이사는 트럼프 행정부 1기에서 Fed 이사에 지명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를 크게 인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1기 행정부에서도 Fed가 금리를 인하하도록 공개적으로 압박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연방기금 금리선물 시장은 Fed가 3월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97.5%, 상반기 내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49.8%로 반영 중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