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짜장면 7500원·칼국수 9500원…식지 않는 면플레이션

서민음식으로 손꼽히던 면 요리는 옛말
삼겹살, 삼계탕, 김치찌개 등은 가격 변동 없어

'면플레이션'(면과 인플레이션 합성어·면 물가 상승)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재료비와 인건비, 가게 임대료, 전기·수도세가 꾸준히 오르면서 서민들의 음식으로 손꼽히던 면 요리값 인상이 지속되고 있다.


18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서울 기준 소비자가 많이 찾는 8개 외식 대표 메뉴 중 하나인 짜장면은 작년 12월 7423원에서 올해 1월 7500원으로 77원 올랐다. 서울 지역 짜장면 가격은 2014년 10월 4500원에서 2019년 10월 5000원대가 됐고 2022년 4월 6000원대에서 2023년 9월 7000원대로 올라섰다.

짜장면. 픽사베이

짜장면.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달 냉면 한 그릇 가격은 1만2000원에서 1만2038원으로 올랐다. 냉면 한 그릇 평균 가격은 2022년 4월 1만원 선, 2023년 6월 1만1000선, 작년 12월 1만2000원 선을 각각 처음 넘었다.

서울 냉면 유명 식당에서 판매하는 냉면 한 그릇 가격은 우래옥·봉피양·평가옥이 1만6000원으로 가장 비싸다. 을지면옥·을밀대 1만5000원, 필동면옥 1만4000원 등이다.


한 먹자골목의 냉면전문점 앞.

한 먹자골목의 냉면전문점 앞.

원본보기 아이콘

지난달 칼국수 값도 9385원에서 9462원으로 올랐다. 또 김밥은 3500원에서 3538원으로, 비빔밥은 1만1192원에서 1만1231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삼겹살과 삼계탕, 김치찌개 백반 등 3개 외식 품목의 평균 가격은 지난달과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겹살 1인분(200g) 가격은 2만282원을 유지했고 삼계탕과 김치찌개 백반 가격은 각각 1만7269원, 8269원이다.

지난달 서울 지역 개인 서비스 요금을 보면 이발소 비용은 1만2538원, 목욕비는 1만615원으로 각각 작년 12월과 같다.





김진선 기자 car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