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여러 기관 달려들어 중구난방 조사…조서끼리도 상충"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에 출석해 "여러 (수사)기관이 달려들어 중구난방으로 조사하고 국회에서 한 청문 기록도 혼재돼 있다"고 비판했다. 탄핵심판에 출석한 증인들의 진술과 수사기관 진술이 다르기 때문에 헌재가 증거 채택에 신중해야 한다는 취지다.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이 11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원본보기 아이콘

윤 대통령은 11일 헌재 탄핵심판 7차 변론기일에 출석해 "검찰이면 검찰, 군검찰이면 군검찰, 공수처면 공수처, 경찰이면 경찰 이렇게 일관된 한 기관이 조사한 것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조서끼리도 상충하는 게 많고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나 다른 관계자들이 증인신문을 했지만 그들의 조서에 기재된 내용과 실제로 증언을 들은 것과 너무나 거리가 많이 벌어진 것을 많은 사람이 느꼈을 것"이라고 했다.

또 윤 대통령은 "재판관들께서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을까 싶다"며 "증거 능력에 대한 판단은 재판관께서 하시더라도 만연히 증거로 채택해서 사실인정에 반영하는 것은 근본 구조가 검찰 수사처럼 한 기관이 체계적으로 수사했으면 모르겠지만 서로도 맞지 않기에 그런 점을 잘 좀 살펴주십사 부탁한다"고 했다. 이에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은 "평의 때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탄핵심판 7차 변론의 쟁점은 비상계엄 선포 직전 국무회의 절차와 중앙선관위 압수수색의 위헌·위법성 여부 등이 될 전망이다.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 등이 증인으로 나선다.




곽민재 기자 mjkwak@asiae.co.kr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