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숏폼 플랫폼 틱톡에서 '보통의 집(normal house)' 트렌드가 화제 되고 있다. 이는 정리되지 않은 집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콘텐츠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깔끔하고 완벽한 집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됐다. 이를테면 싱크대 위 가득 쌓인 설거짓거리나 정리되지 않은 신발장, 쌓인 택배 상자 등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식이다.
최근 틱톡을 통해 자신의 집을 공유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틱톡커 메이징미미는 "SNS는 하이라이트만 보여준다. 내 집은 실제로 이렇다"며 자신의 집 내부를 공개했다. 책장에는 책이 제멋대로 쌓여 있었고, 바닥에는 개털과 머리카락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었다. 창문에는 아이들이 남긴 손자국이 그대로 보이기도 했다.
또 다른 틱톡커 사라 본드 역시 거실 바닥에 장난감이 놓여 있고, 식탁 위에 잡동사니가 널려 있는 등 정돈되지 않은 집 내부 모습을 보여줬다. 관련 영상을 본 누리꾼들은 "현실적이어서 좋다", "그간 내 집은 틱톡 속 다른 집들처럼 깨끗하지 않다는 생각에 스트레스를 받아왔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해당 트렌드는 SNS 속 완벽하게 정리된 집과 비교하면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에서 비롯됐다. SNS 속 모습과 실제가 다름을 알면서도 여전히 이상적인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에 현실적이고 솔직한 집의 모습을 드러내는 트렌드가 급부상했다.
다만 부동산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어수선한 집의 모습이 나쁜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어 집이 팔리지 않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콜로라도주 잉글우드의 뉴에라 홈 바이어스 대표인 브라렛 존슨은 "부동산 시장에서는 집의 첫인상이 중요하며, 완벽하게 연출된 집이 더 빨리 팔린다"고 했다. 이어 "SNS에서 이상적으로 보이는 집, 즉 깔끔하게 정리된 집은 언제나 더 빨리 팔린다"고 덧붙였다.
캘리포니아와 플로리다에서 활동하는 부동산 중개인 카라 아미어 또한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그는 "아름답게 꾸며진 집은 같은 가격대의 다른 집보다 높은 가격에 팔리는 경우가 많다"며 "집을 보러 갈 때 깔끔하고 정돈된 모습을 기대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대부분의 사람에게 주택 매입은 인생에서 가장 큰 거래이기 때문에, 가격이 아주 저렴한 경우가 아니면 관리가 잘 된 집을 선호한다"고 덧붙였다.
미국 부동산 시장은 높은 모기지 금리와 공급 부족 등으로 인해 주택 매매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매도자들은 집을 보다 매력적으로 보이도록 꾸며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시애틀에서 주택 인테리어 및 홈 스타일링 회사를 운영하는 시린 사리카니는 "집을 매도할 때는 장점을 강조하고 단점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전문가의 손을 거친 집이 더 빨리 팔리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