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만든 샘 올트먼 "머지않아 AI가 인간보다 더 나은 수준 도달"

4일 '오픈AI 빌더랩 서울'서 국내 개발자 100명 만나 질의응답

"챗지피티 집중하되, 국가별·산업별 특화 서비스 협업"
"딥리서치, 산업에 유용하게 쓰일 것"
"韓 스타트업과 협력하고파"
신제품 '오퍼레이터' 영상 시연도

챗GPT 개발사 오픈AI 창업자인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대담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 창업자인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4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카카오 미디어데이'에 참석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와 대담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AI(인공지능)가 인간보다 더 나은 수준에 도달하는 시점이 머지않았다"고 밝혔다. 4일 아시아경제 취재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이날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오픈AI 빌더랩 서울' 행사에서 "AI 성능이 100%에 도달하는 시점이 언제냐"는 한 개발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날 행사는 국내 AI 기업 대표와 최고기술책임자(CTO)급 개발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됐다. 개발자 대상으로 열린 이 날 행사에는 각 기업당 1~2명씩 참석해 올트먼 CEO와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개발자들은 AI 기술 관련 깊이 있는 질문들을 쏟아냈고, 올트먼 CEO는 이에 대해 상세히 답변한 것으로 전해졌다.

올트먼 CEO는 "오픈AI의 새로운 '킬러 앱'(플랫폼이나 기술의 대중화를 이끄는 결정적인 앱) 개발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는 "기존 챗지피티(ChatGPT)를 중심으로 '딥 리서치(Deep Research)' 같은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우리는 범용 인공지능(General Intelligence)을 추구하며, 현재는 챗지피티를 기반으로 확장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별, 산업별 특화된 영역에서의 협업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오픈AI가 직접 새로운 앱을 만드는 대신, 챗지피티의 기능을 발전시켜 다른 기업들과 협업해 오픈AI의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의미다.


올트먼 CEO는 전날 선보인 챗지피티의 새로운 서비스인 딥 리서치 역시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딥 리서치는 사용자가 질문하면 검색만 해주는 게 아니라, 검색하고 심층 분석까지 해준다. 그는 "딥 리서치의 경우 사람들이 활용하는 방식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며 "검색하는 데만 그치지 않고 전자상거래, 컨설팅 대체, 세금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AI를 활용해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던 산업을 개선할 기회가 열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오픈AI의 또 다른 툴인 '오퍼레이터(Operator)'도 시연됐다. 오퍼레이터는 지난달 23일 오픈AI가 내놓은 서비스다. AI가 웹 브라우저를 작동해서 사용자가 지시한 업무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현재는 월 200달러 프로 버전 구독자를 대상으로 우선 제공되고 있다. 현장에서 울트먼 CEO가 직접 선보이려고 프로그램 오류 탓에 미리 준비된 동영상으로 진행됐다.

올트먼 CEO는 한국 시장에 대해 "한국은 반도체, 에너지 등 AI 생태계 구축에서 중요한 국가"라며 "현지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방문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한국에서 오픈AI의 최신 기능이 늦게 출시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한 답변이었다. AI 업계의 뜨거운 감자인 딥시크와 오픈소스 관련 질문에도 답변을 회피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연 이후에는 개발자 대상 '핸즈온' 실습 세션이 진행됐다. 개발자들은 각자 가져온 노트북으로 오픈AI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활용한 코딩 실습을 진행했다. 오픈AI 측은 초기 코드와 과제를 제공했다. 오픈AI 엔지니어들이 현장에서 기술 자문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현장에 초청된 박지민 클라이원트 AI 엔지니어는 "신제품을 시연하고, 실습해보도록 하는 익숙한 형식의 개발자 행사"면서도 "질의응답 세션의 깊이나 답변의 구체성 면에서 차별화된 행사였다고 본다"고 소감을 밝혔다.





박유진 기자 gen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