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 화폐로 지정한 '친(親) 암호화폐 국가' 중미 엘살바도르가 국제통화기금(IMF) 금융지원 프로그램 조건 준수를 위해 비트코인 결제 의무화 규정을 폐지했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은 엘살바도르 국회가 비트코인을 지불수단으로 의무적으로 채택하도록 한 법률 조항을 삭제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비트코인의 법정통화 지위는 그대로 유지한다.
이는 엘살바도르가 IMF로부터 총 14억 달러(2조원 상당) 규모 자금을 지원받기 위한 것이다. IMF는 해당 자금을 40개월에 걸쳐 확대신용공여(EFF) 방식으로 제공하기로 하면서 ▲공공 부문의 비트코인 관련 경제활동 제한 ▲민간 부문의 자발적 비트코인 결제 ▲미 달러(법정통화)로만 세금 납부 ▲암호화폐 전자 지갑(Chivo·치보) 점진적 사용 축소 등을 엘살바도르에 요구했다.
엘살바도르는 2021년 9월 세계 최초로 비트코인을 공용 법정통화로 도입했다. 이어 비트코인 사용 장려를 위해 '치보' 애플리케이션(앱)을 전 국민에 배포하도록 지시했는데, AFP는 지난해 기준 사용자가 8%에 불과했다고 전했다. 엘살바도르 나이브 부켈레 대통령은 변동성 위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고를 무시하고 국가 예산을 들여 비트코인을 사들여 화제가 됐다. 엘살바도르 정부는 이를 '전략적 비트코인 준비금'(Strategic Bitcoin Reserve·SBR)이라고 부른다.
한때 '반토막'이 나면서 엄청난 손실을 봤던 엘살바도르의 비트코인 가치는 이날 기준 약 6억1698만달러(8995억원 상당)에 해당한다고 사설 투자손실 분석 웹사이트 나이브트래커는 추정했다. 엘살바도르 대통령 직속 비트코인 사무소(ONBTC)는 현재 6051.18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공개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미실현 매도 이익은 120%를 넘는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