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상반기 34.5조원 신속집행…혁신제품 임차 도입”

조달청이 올해 상반기 34조5000억원의 조달계약을 집행한다. 또 혁신제품 지원체계를 개편하는 등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조달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왼쪽 두 번째)이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5년 업무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조달청 제공

임기근 조달청장(왼쪽 두 번째)이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25년 업무계획'을 소개하고 있다. 조달청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조달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조달청 업무계획’을 확정해 20일 발표했다. 업무계획은 ▲민생경제 최우선·성장생태계 조성 ▲탄탄한 기본을 토대로 신뢰받는 공공조달 ▲경제·사회 구조 전환에 선제 대응을 3대 전략으로 정해 추진한다.

우선 올해 조달청은 상반기 중 역대 최대 규모인 34조5000억원의 조달계약을 올 상반기 체결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수요기관의 조달 수수료를 최대 20%까지 인하하고, 물품·용역·시설공사 발주계획을 이달 조기에 공표할 계획이다.


조달 수수료 경감률은 지난해 1~4월 15%에서 올해 같은 기간 20%, 지난해 5~6월 5%에서 올해 10%로 각각 상향한다. 또 긴급입찰 공고 기간을 7일에서 5일로 단축하고, 200억원 미만의 소규모 국방사업의 설계 적정성 검토를 면제하는 등 조달 절차를 단축·간소화해 신속 집행에 걸림돌이 되지 않게 한다.


기존 조달시장에 없던 반려로봇 등 첨단 융복합제품을 발굴해 계약하고, 신성장 분야 물품의 품명을 선제적으로 신설하는 등 기업의 공공조달시장 진입도 지원한다.

특히 조달청은 올해 임차하는 방식으로 혁신제품을 시범구매 할 수 있게 해 고가의 실험장비 등 신산업 분야 제품 시범사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혁신제품의 임차 방식은 올해 새롭게 도입된다.


조달청 제공

조달청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국내에서 검증받은 유망 조달기업이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공공조달 성장 사다리를 놓는 것도 올해 조달청이 추진하는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이를 위해 혁신제품 해외 실증 규모를 지난해 70억원에서 올해 140억원으로 증액하고, 해외 실증 부대비용 지원과 조달청 주관 ODA 사업을 병행해 ‘혁신제품 3종 수출 촉진 패키지’를 현장에 적용한다.


신뢰받는 공공조달을 위해선 제재 수단 다각화로 위법행위에 엄정 대응하고, 담합 등 공공조달 질서를 훼손하는 편법행위에 불이익을 강화한다. 또 지난해 도입한 ‘평가위원 3중 관리시스템’ 고도화와 역평가·다면평가, 위원 간 토론 등 신규 평가기법 도입으로 공정평가 문화를 확산한다.


저출산·탄소중립·사회적 책임 등 변화하는 경제·사회 구조에 선제 대응하는 데 공공구매력을 활용하는 전략도 구사한다. 조달청은 저출산 극복을 위한 공공조달의 역할을 제고하기 위해 저출산 대응 입찰 가점을 신설하고, 적용 범위와 전체 배점을 확대해 출산장려기업을 입찰에서 우대할 예정이다. 최소 녹색 기준 강화와 적용 대상 제품을 확대하고, 저탄소 자재 사용 등 탄소 배출량 감축을 유도할 수 있는 시설 설계 검토 기준도 마련한다.


사회적 책임 실현을 위해선 장애인 등 약자 기업의 조달시장 진입요건 완화와 소상공인 공동생산제품의 우선구매 금액 상향(10억원→20억원) 등을 검토해 판로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올해는 여느 때보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상황으로, 연간 200조원 규모의 공공조달이 갖는 책임과 역할도 막중하다”며 “조달청은 ‘중소·벤처·혁신기업의 벗’과 ‘Back to the basic’의 시즌2 전략을 공고히 하고, 저출산·탄소중립·사회적 책임 등 경제·사회적 구조 전환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