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위, 노인연령 상향·재가임종 논의…"전면 재설계 필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민통합위원회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민통합위원회

원본보기 아이콘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17일 정책토론회를 열고 노인연령 상향, 재가임종 등에 대해 논의했다.


정책토론회는 이날 오전 10시 서울 중구 코리아나 호텔에서 대한노인회, 한국노년학회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존엄한 노후를 위한 새로운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열렸다.

'노인연령 상향 가능성'을 주제로 발제한 권정현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은 "노인연령 상향 조정 논의는 소득확보기간 연장이 동반돼야 하며 노인이 노동시장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중근 대한노인회장도 "초고령사회 대비에 따른 미래 세대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노인 대우를 계속 유지하면서 노인연령은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하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재가임종'을 주제로 발제한 김해숙 위덕대 교수는 "노인복지의 추세가 사람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임종 또한 가족 품에서 품위 있게 죽을 권리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적 뒷받침과 전문인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이중근 회장께서 취임 시 두 가지를 이야기했는데, 그중 하나는 노인기준연령 상향 조정"이라며 "이것은 전 국민적인 동의를 얻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또 하나는 재가임종제"라며 "노인들이 가능하면 집에서, 가족들 속에서 돌아가시게 하자인데 이는 대단히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이중근 회장을 비롯한 노인회원들과 이윤환 한국노년학회장, 노인돌봄 전문가, 일반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유례없이 빠른 고령화는 노인이 많아졌다는 의미를 넘어 복지부터 정년연장, 노동개혁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사회정책을 전면적으로 재설계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