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고용지표 발표 후 금리 인하 기대감 '뚝'…다우 1.63%↓ 마감

S&P500 1.54%↓

뉴욕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급락했다. 12월 미국 비농업 부문 고용지표가 예상을 뛰어넘게 나오면서 추가 금리인하 기대감이 낮아졌고, 이로인해 투자자들의 주식투자 심리가 한풀 꺾인 것으로 풀이된다.


[뉴욕증시]고용지표 발표 후 금리 인하 기대감 '뚝'…다우 1.63%↓ 마감 원본보기 아이콘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696.75포인트(1.63%) 급락한 4193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91.21포인트(1.54%) 밀린 5827.04, 나스닥지수는 317.25포인트(1.63%) 떨어진 19161.63에 장을 마쳤다.

미국 노동부는 작년 12월 비농업 고용이 전달보다 25만6000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 16만명을 10만명 가까이 웃도는 결과다. 직전 달의 수정치 21만2000명보다도 4만명 넘게 많았다. 실업률도 4.1%로 시장 예상치와 직전 달 수치 4.2%를 밑돌았다.


고용시장이 좋아진 지표가 공개되면서 자산시장은 전반적으로 충격을 받았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국 2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12bp나 치솟았고 달러인덱스는 장 중 110선 목전까지 뛰었다.


이는 고용이 예상을 크게 웃돌면서 연준이 금리를 추가로 내릴 명분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인플레이션이 여전한 상황에서 고용시장 마저 뜨거워 연준이 금리를 더 내릴 경우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증시도 이같은 분위기에 휩쓸렸다. 12월 고용지표의 발표 직후 주가지수 선물은 1% 가까이 급락했고 이같은 분위기는 장 중 내내 이어졌다.


거대 기술기업 7곳을 가리키는 '매그니피센트7'은 메타를 제외하고 모두 떨어졌다. 애플이 2.41%, 엔비디아는 3.00% 내렸으며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아마존도 1%대 하락률을 기록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이 꺾이면서 인공지능(AI) 및 반도체 관련주도 무더기로 주저앉았다. 통상 고금리 환경은 성장주에 불리하다고 여겨진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42% 급락했다. 지수를 구성하는 30개 종목 중 TSMC만 강보합으로 버텼을 뿐 나머지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이밖에 JP모건체이스와 비자, 코카콜라가 1%대 하락세를 보였고 아메리칸익스프레스와 골드만삭스는 3% 넘게 떨어졌다.


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인스티튜트의 스콧 렌 수석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12월 고용지표는) 경제에는 좋은 소식이지만 최소한 지금은 주식시장에 좋지 않은 소식"이라며 "다만 12월 고용이 예상보다 많았으나 향후 몇 분기에 걸쳐 고용시장이 더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우리의 전망은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증시]고용지표 발표 후 금리 인하 기대감 '뚝'…다우 1.63%↓ 마감 원본보기 아이콘

월가 투자은행들은 고용지표 확인 후 연준의 금리 경로 전망을 바꾸는 분위기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이날 투자 노트에서 "우리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끝났다고 본다"며 "오히려 연준의 다음 움직임에 대해선 위험이 인상 쪽으로 치우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올해 금리 인하 횟수 전망치를 종전 3회에서 2회로 축소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아직 연준이 올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베팅은 없다. 올해 12월까지 8번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상될 확률은 모두 0%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1월 금리동결 확률은 97.3%까지 뛰었다. 이달 금리동결을 기정사실로 하는 분위기다.


한편 미시간대에 따르면 2025년 1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73.2로 집계됐다. 이는 12월 74.0에서 1.1% 하락한 수치다. 반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3%로 급등했다. 직전 달의 2.8%에서 크게 오르며 2024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도 직전 달의 3.0%에서 3.3%로 올라 2008년 6월 이후 약 17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서희 기자 daw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