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추락해 176명이 숨지고 3명이 실종된 대형 참사가 발생한 가운데 제주항공의 최대주주인 애경그룹을 불매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제주항공의 정비 환경이 열악했으며 기존부터 기체 결함이 잦았다는 증언이 잇따르면서 ‘제주항공 책임론’이 커지고 있는 여파로 해석된다.
30일 엑스(X·옛 트위터) 등 각종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애경그룹 계열사와 애경산업이 판매하는 화장품 제품명과 생활용품 브랜드 목록을 나열한 글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다. 누리꾼들은 “구매 전 한 번만 확인하시고 주의를 기울여달라” 등의 당부를 덧붙이며 불매를 독려했다. 해당 글에는 “애경 불매” “기억하겠다” “샴푸 바꿔야겠네” “믿고 쓸 수 없다” 등의 댓글도 쏟아졌다.
애경그룹이 ‘가습기 살균제 파동’과 연루돼 있다는 사실을 적은 한 게시글은 1만 회 이상 공유되기도 했다. 안용찬 전 애경산업 대표는 지난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독성 화학물질을 이용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가습기메이트’의 안전성을 검증하지 않고 판매해 98명의 사상자를 낸 혐의로 지난 2019년 기소됐다. 지난 26일 대법원이 금고 4년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내 재판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과거 제주항공 내부 문제를 지적한 글들이 온라인상에서 재조명되면서 계열사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불매운동까지 번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본인을 제주항공 재직자라고 소개한 A씨는 지난 2월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에 ‘제주항공 타지 마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요즘 툭하면 엔진 결함이다. 언제 떨어질지 모른다”며 “사장 하나 잘못 데려와서 정비, 운항, 재무 모두 개판 됐다”라고 적었다. 이어 “요즘 다들 다른 항공사로 탈출하는 분위기”라고 지적했다.
항공 정비사들이 휴식 시간을 보장받지 못하고 타 항공사 대비 무리한 업무를 담당하는 등 열악한 근무 환경으로 인해 원래부터 기체 안전이 위태로웠다는 주장도 있었다. 자신을 제주항공 정비사라고 밝힌 B씨는 “정비사들은 야간에 13~14시간을 일하며 밥 먹는 시간 20분 남짓을 제외하면 쉬는 시간 자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B씨는 “타 항공사 대비 1.5배 많은 업무량과 휴식 없이 피로에 절어서 대우받지 못하는 사람이 정비하는 비행기를 타시는 것”이라며 “언제 큰 사고가 터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항공정비업계에서는 ‘제주항공에서 2년 버티면 어디서도 버틸 수 있다’는 말이 유명하다”고도 덧붙였다.
현재까지 사고 주요 원인으로는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랜딩기어 미작동이 지목되고 있다. 다만 조류 충돌로 한 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엔진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랜딩기어가 작동할 수 있었던 만큼 기체 결함 가능성을 지적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조류 충돌에 따른 한쪽 엔진 고장만으로는 이러한 대형참사가 벌어지기 어렵다며 사고 원인이 조류 충돌인지, 기체 결함인지, 정비 불량인지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29일 오전 9시3분께 181명이 탑승한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무안국제공항의 활주로 착륙 과정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벌어졌다. 소방 당국은 생존자 2명을 제외하고 모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무안 공항은 호남 유일의 국제공항이다. 인천국제공항까지 이동이 어려운 어르신이나 가족 단위 여행객의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