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부산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실시한 ‘2024 부산사회조사’ 결과를 공표했다.
1996년 1회 조사를 시작으로 올해 29회를 맞은 ‘부산사회조사’는 지자체 최초로 부산에서 실시됐으며, 시민 의식과 생활 수준·실태, 사회변화상을 알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중요한 조사로 지역사회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올해 조사는 지난 8월 23일부터 9월 12일까지 21일간 진행됐다.
올해 조사는 1만 7860개 표본가구 내 15세 이상 부산시민 3만 1144명을 대상으로 ▲건강 ▲안전 ▲환경 ▲가족 ▲사회통합, 5개 부문(조사항목 60개)에 대해 진행됐으며, 다음은 부문별 주요 결과다.
조사항목은 홀수 연도(노동, 주거·교통, 문화·여가, 교육, 소득·소비), 짝수 연도(건강, 안전, 환경, 가족, 사회통합)이다.
▲건강
15세 이상 부산시민의 운동 비율은 10명 중 5.4명(2022년 대비 2.6%p↑), 1주일 평균 운동일 수는 3.7일, 1회 평균 운동시간은 1시간 20분, 운동시설로는 ‘인근공원(40.9%)’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적절한 식사·영양보충(49.3%)’으로 응답했다. 또 지난 1년 동안 부산에 있는 의료기관을 이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시민은 10명 중 8.5명이며, 주 이용 의료기관의 서비스에 대해서는 73.9%(2022년 대비 2.4%p↑)가 만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
부산의 전반적인 사회 안전에 대해 ‘안전하다’라고 응답한 시민은 46.0%(2022년 대비 0.7%p↑), ‘불안하다’ 10.3%(2022년 대비 0.4%p↑)로 응답했으며, 현재 부산시의 안전이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안전하다’ 61.3%(2022년 대비 2.5%p↑), ‘불안하다’ 4.6%(2022년 대비 0.6%p↑)로 나타났다. 부산시의 안전을 위한 최우선 시행 안전 사업으로 ‘교통안전 사업(44.8%)’, ‘범죄·폭력 예방(42.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환경
부산시의 현재 체감 환경 중 가장 만족하는 부문은 ‘녹지환경(43.9%)’, 만족도가 가장 낮은 부문은 ‘소음·진동(27.6%)’으로 조사됐다.
▲가족
평소 선호하는 가족 형태는 부모와 비동거하는 ‘유자녀 부부(55.4%)’, 노후에는 자녀와 분리된 가족 형태인 ‘부부·독신생활(90.2%)’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63.1%(2022년 대비 3.5%p↑)가 만족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부산시 출산율 증가 최우선 방안으로는 ‘보육료 지원(18.6%)’, ‘가구소득 증대(16.5%)’, ‘여성 근무여건 개선(14.9%)’ 등으로 조사됐다. 미취학 가구원의 주 보육 방법으로 ‘어린이집(35.3%)’, ‘본인, 배우자(31.7%)’ 순으로 나타났으며, 해당 보육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75.0%, 불만족은 3.7%에 불과했다.
배우자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비율은 47.5%, 그중 맞벌이는 85.5%, 여성 홑벌이는 14.5%로 조사됐으며, 일하는 사유로는 ‘당연히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해서’가 42.8%, 일을 중단해야 할 시기는 ‘일할 수 있을 때까지’가 92.2%로 응답했다.
▲사회통합
부산시민이라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는 시민은 46.8%(2022년 대비 1.5%p↑), 자부심을 느끼지 못하는 시민은 8.1%에 불과했으며, 현재 사는 거주지역에 대해 소속감을 느끼고 있는 시민은 62.0%(2022년 대비 0.9%p↑)로 나타났다. 시(구·군) 정책정보의 주요 습득 경로는 10대와 20대는 ‘소셜미디어’, 30대 이상은 ‘TV, 라디오 등 방송’ 등으로 조사됐다. 청년층(15∼39세) 대상으로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는 청년 10명 중 2명은 ‘있다’라고 응답했으며, 이주 이유는 ‘구직, 취업, 직장’이 66.5%(2022년 대비 5.0%p↑) 등으로 나타났다.
이번 '2024년 부산사회조사' 결과에 대한 연령층별·지역별 등 자세한 사항은 市 Big-데이터웨이브 누리집, 통계-통계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형준 시장은 “모든 시민이 생애주기별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부산사회조사'를 기반으로 주거, 환경, 안전, 건강, 여가 등과 관련한 정책을 다양하게 모색하고, 청년층 유출, 인구 고령화 등 지역의 인구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도시 부산'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