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불 바닥에 건너려 얼굴 들었다가 '화들짝' 왜?

경기도의회 행감서 관리 미비 지적 나와
"잘 안보여"vs"학생에게 필요" 갑론을박

어린이·노인보호구역 환경 개선을 위해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우후죽순 생겨났지만, 실제 신호등과 다른 불이 켜지는 등 오류가 발생해 사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11일 연합뉴스는 "박옥분(더불어민주당·수원2) 경기도의회 의원이 건설교통위원회의 건설국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문제를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이어 건설국에 구체적인 원인 분석과 개선 방안 마련을 요청했다.

박옥분 경기도의원이 제시한 스마트신호등 고장 사진. 박옥분 경기도의원실 제공

박옥분 경기도의원이 제시한 스마트신호등 고장 사진. 박옥분 경기도의원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박 의원은 "스마트폰을 보면서 길을 건너는 사람들이 많아 바닥 등만 보고 갈 수도 있는데 바닥 LED와 신호등 불빛이 불일치하는 고장과 오류가 빈번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상당한 비용을 들여 만든 시설물이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실정"이라며 "교통 시설물이 증가하면서 고장 문제가 심각한데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철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했다.


앞서 경기도는 어린이·노인보호구역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바닥 신호등을 비롯한 교통안전표지, 교통신호기 등 안전 시설물 설치에 올해만 679억원(도비 339억5000만원, 시군비 339억5000만원)을 집행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설치 이후 관리 실태를 조사한 적은 없는데 바닥 LED는 차량 하중이 가해질 경우 고장 날 우려가 있다"며 "신호등 불일치 등 신호 체계와 관련해서는 경찰과 협조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확인해 보겠다"고 했다. 박 의원은 또한 도민들을 향해 주의를 당부했다. 그는 "신호등과 바닥이 다른 경우가 종종 있어 보행자 교통사고 우려가 있으니 바닥 신호등만 보지 말고 정확히 신호를 확인한 뒤 길을 건너야 한다"고 했다.

어린이·노인보호구역 환경 개선을 위해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우후죽순 생겨났지만, 실제 신호등과 다른 불이 켜지는 등 오류가 발생해 사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옥분 경기도의원실 제공

어린이·노인보호구역 환경 개선을 위해 '바닥형 보행신호등'이 우후죽순 생겨났지만, 실제 신호등과 다른 불이 켜지는 등 오류가 발생해 사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 나왔다. 박옥분 경기도의원실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한편, 전국 지자체가 운영하는 바닥 신호등이 낮에 잘 보이지 않아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일부 시민은 낮 시간대 효과가 입증되지 않은 바닥 신호등을 켜둬 예산이 낭비된다고 지적하는 반면 일부는 없는 것보다 낫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바닥 신호등은 야간에 환하게 빛나 보행자가 보행신호를 쉽게 인식하게 한다. 이 때문에 일부 시민은 밤 시간대 바닥 신호등을 켜는 것에 만족한다. 반면 일부 시민은 바닥 신호등이 밤에 너무 밝게 빛나 눈이 부시다는 민원을 제기한다.

아울러 낮에는 햇빛이 있어 밤보다 상대적으로 바닥 신호등 색깔을 인식하기 어렵다. 바닥 신호등 색깔이 주변 보도블록 색깔과 유사한 경우도 있어 색깔 변화를 빠르게 인식할 수 없을 때도 있다. 이에 일각선 낮에 바닥 신호등의 효과가 없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를 낸다. 효과가 없는데 바닥 신호등을 켜두면 아까운 전기요금을 내야 해서 예산 낭비가 된다는 지적도 있다. 반면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학생 등에게 바닥 신호등은 낮에도 효과적이라고 주장하는 시민도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