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병은 북미 지역의 풍토병으로 알려졌지만, 국내 감염자가 대폭 늘어나 라임병 매개 진드기가 이미 국내에 토착화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합뉴스는 13일 질병관리청을 인용해 지난해 국내 라임병 환자가 국내 감염자 36명, 해외 유입 환자 8명, 감염 경로 불명 환자 1명 등 총 45명이라고 보도했다.
국내에서는 2012년 첫 라임병 감염자가 확인된 이후 2019년 23명, 2020년 18명, 2021년 8명, 2022년 22명 등의 환자가 나온 바 있다. 이중 국내에서 감염된 환자는 2019년 12명, 2020년 14명, 2021년 6명, 2022년 16명, 지난해 36명이다.
라임병은 진드기가 사람의 피부를 물어 보렐리아 속균이 신체에 침범해 발생하는 인수 공통 감염병이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균이 여러 장기로 퍼져 뇌염과 말초신경염, 심근염, 부정맥과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킨다. 면역저하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질병청이 주목한 건 국내 발생 환자의 증가세다. 최근 5년(2019∼2023년)간 우리나라 라임병 환자 중 국내 감염환자는 72.4%로, 2011∼2018년(56.4%)에 비해 그 비중이 크게 높아졌다.
질병청은 "온도, 습도, 강수량 등 기후요인 등으로 인해 라임병 매개 진드기는 이미 국내에 토착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매개체 증가 등이 예상돼 국내 환자 발생 및 발생 지역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라임병 매개종인 일본참진드기와 사슴피참진드기는 강원 인제, 경기 광주, 전남 보성,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채집된 것으로 보고됐다.
한편, 진드기가 있을 수 있는 공원, 밭 등에서 활동을 한 후에 라임병 증상이 나타난다면 신속하게 병원을 찾아야 한다. 라임병 감염 초기 증상은 발열과 두통, 피로감 등이다. 특히 피부에 진드기가 물린 자국이 있는지 살펴야 한다. 가장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양이 있다면 진드기 물림을 의심할 수 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