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은 29일 "인구 위기 대응 전략은 교육, 의료, 고용, 주거, 복지를 비롯해 다방면에 연계된 과제"라며 "이를 종합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컨트롤타워 '인구전략기획부'가 조속히 출범해야 한다"고 국회에 협조를 요청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생중계로 진행한 국정브리핑을 통해 "9월부터 범부처 합동으로 '인구전략기획부 설립추진단'을 발족시켜 조직, 인사, 예산 등 관련 제반 사항을 철저히 준비하겠다"며 "관련법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금 우리 청년들은 '결혼과 출산을 생각할 여유가 없다'고 이야기한다"며 "청년들이 당장 원하는 '일·가정 양립'을 안착시키고 양육과 주거 부담을 완화해서 청년들에게 출산과 결혼을 꿈꿀 수 있는 여유를 되찾아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난달 25일 신설한 대통령실 저출생수석실을 중심으로 그동안 효과가 없었던 대책들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수혜자의 선택권, 정책 체감도, 지속 가능성을 감안해 사업을 재설계하겠다고 설명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수도권 집중을 해소하는 지역 균형발전이 인구문제의 근본 해결책"이라며 "지역 균형발전의 핵심 요건은 결국 사람과 기업이 지역으로 오게 하는 것이고, 그 키는 바로 정주 여건"이라고 했다. 정주 여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과 의료라는 게 윤 대통령 생각이다.
교육개혁에 대해선 다양성 확대와 선택권 보장, 기회의 사다리가 돼주는 공정한 교육, 과도한 경쟁 압력 해소를 통한 창의적 인재 양성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하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교육과 돌봄을 국가가 책임지는 '퍼블릭 케어'를 하루빨리 안착시키겠다"며 "유보통합을 꼼꼼하고 신속하게 추진해서 고품질의 교육, 돌봄 서비스를 공정하게 제공하고, 늘봄학교는 2026년까지 초등학교 전 학년으로 확대해서 희망하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외에 인공지능(AI) 교과서를 도입해 맞춤형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고, 지방 교육 혁신의 견인차가 될 글로컬 대학 육성, 학과와 전공의 벽을 허무는 전공자율선택제 확대에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노동개혁을 두고는 "불합리한 관행과 낡고 획일적인 제도로는 경제의 역동성을 높일 수 없고 근로자를 제대로 보호하기도 어렵다"며 노동시장 유연화와 노동약자 보호에 무게를 뒀다. "다양한 형태로 유연한 근무가 가능하도록 근로자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숙련된 중장년이 계속 일할 수 있도록 경직적인 임금체계를 개선하겠다"며 "'노동약자보호법'을 제정해 미조직 근로자를 정부가 직접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