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개인과 외국인의 매도에 2700선에서 약보합 마감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코스피는 23일 전거래일 대비 5.98포인트(0.22%) 내린 2701.69에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1032억원, 2952억원을 순매도했다. 반면 기관은 3449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이 1.69% 뛰었다. 이 외 비금속광물, 전기가스업, 통신업 등이 1% 이상 상승했다. 반면 의료정밀이 1.71% 내렸다. 이 외 음식료품, 전기전자, 철강및금속 등은 1% 이상 하락 마감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중
삼성전자
삼성전자
00593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6,100
전일대비
1,500
등락률
-2.60%
거래량
23,527,139
전일가
57,6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美 관세 충격에 코스피 2480대로 후퇴…코스닥도 하락상호관세 충격에 증시 급락 출발…자동차·반도체 파란불[클릭 e종목]"삼성전자 1분기 실적, 전망치 상회 전망"
close
는 전거래일 대비 600원(0.77%) 내린 7만77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SK하이닉스는 2.93% 내렸다. 또 POSCO홀딩스가 2.02% 하락했다. 반면
삼성물산
삼성물산
02826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17,400
전일대비
700
등락률
-0.59%
거래량
269,509
전일가
118,1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단독]럭셔리 브랜드 쟁탈전…삼성물산 패션, '산드로·마쥬' 품는다韓증시 상승마감 "관세·탄핵심판 예정…불확실성 해소 기대감"韓증시 상승 출발…코스피 2500선 탈환
close
이 2.04% 뛰었다. 이 외
현대차
현대차
0053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91,800
전일대비
2,000
등락률
-1.03%
거래량
810,211
전일가
193,8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무뇨스 현대차 대표 "관세 부과에도 미국 내 가격 인상 계획 없어"상호관세 충격에 증시 급락 출발…자동차·반도체 파란불"5분 충전에 700㎞"…현대차, 신형 수소전기차 넥쏘 공개[서울모빌리티쇼]
close
,
기아
기아
0002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9,700
전일대비
1,100
등락률
-1.21%
거래량
947,048
전일가
90,8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서울모빌리티쇼]기아, LG전자와 신개념 모빌리티 'PV5 슈필라움' 공개[서울모빌리티쇼]기아, 'PV5·타스만 위켄더' 국내 첫 공개[타볼레오]"산길을 거침없이" 기아 첫 픽업트럭 타스만
close
,
신한지주
신한지주
05555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47,050
전일대비
500
등락률
-1.05%
거래량
1,351,789
전일가
47,55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韓증시 상승마감 "관세·탄핵심판 예정…불확실성 해소 기대감"韓증시 상승 출발…코스피 2500선 탈환[기자수첩]국책은행의 민낯…기업은행, 정말 노력해야 할 때
close
는 1% 이상 올랐다.
이날 코스피에서는
한화갤러리아우
한화갤러리아우
45226K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2,390
전일대비
5
등락률
-0.21%
거래량
1,999
전일가
2,395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코스피, 외인 매도에 2700선 내줘…반도체·자동차 '약세'[특징주]한화갤러리아 우선주, 2거래일 연속 '따상'[특징주]한화 3남 '공개매수' 선언에 한화갤러리아우 상한가↑
close
가 상한가를 기록하며 429개 종목이 올랐으며 하한가 없이 432개 종목이 밀렸다. 76개 종목은 보합이었다.
코스닥은 전거래일 대비 0.21포인트(0.03%) 내린 773.26에 거래를 마감했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이 1033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과 기관이 각각 593억원과 103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기타서비스가 3.14% 올랐다. 이 외 제약, 금속, 의료·정밀기기 등은 강보합세였다. 반면 금융, 화학, 일반전기전자, 섬유·의류 등은 1% 이상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에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
24754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98,100
전일대비
7,000
등락률
+7.68%
거래량
878,322
전일가
91,1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이차전지주 나란히 강세…에코프로 8%대 ↑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
close
은 전거래일 대비 6900원(3.81%) 내린 17만4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에코프로
에코프로
08652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52,100
전일대비
4,250
등락률
+8.88%
거래량
2,781,441
전일가
47,85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이차전지주 나란히 강세…에코프로 8%대 ↑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
close
는 2.69% 하락했다. 또
엔켐
엔켐
3483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65,100
전일대비
200
등락률
+0.31%
거래량
373,448
전일가
64,9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K배터리 지원 패키지’ 나오나…국회·정부 "전방위 지원 검토"관세 피로감 누적…코스피·코스닥 하락 마감‘외국인·기관 팔자’ 코스피 숨고르기…코스닥은 보합권
close
이 4.38% 내렸다. 반면
알테오젠
알테오젠
19617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363,000
전일대비
2,000
등락률
-0.55%
거래량
556,110
전일가
365,0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알테오젠 헬스케어, 고진국 대표이사 취임…"테르가제주, 글로벌 시장 확대 목표"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
close
이 9.00% 급등했다. 또
클래시스
클래시스
21415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60,700
전일대비
0
등락률
0.00%
거래량
315,147
전일가
60,7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韓증시 상승 출발…코스피 2500선 탈환
close
가 5.86% 뛰었다. 이 외
HLB
HLB
0283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57,600
전일대비
600
등락률
+1.05%
거래량
850,566
전일가
57,0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HLB, HLB생명과학 흡수합병 결정
close
,
리가켐바이오
리가켐바이오
14108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95,8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42%
거래량
204,557
전일가
96,20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美관세 발표에 눈치보기…코스피, 2505.86 약보합 마감코스피 장 초반 보합권…2500선 깨지나韓증시 상승마감 "관세·탄핵심판 예정…불확실성 해소 기대감"
close
가 4% 이상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에서는
세니젠
세니젠
18826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455
전일대비
25
등락률
-1.01%
거래량
8,466
전일가
2,48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세니젠, 올해 두번째 자사주 매입…"주주가치 제고"코스피, 외인 매도세에 2600선 약보합 마감…SK하닉 3%↑세니젠, 엠폭스 진단키트 식약처 수출허가 획득…“아프리카 대륙 노크”
close
,
아이씨티케이
아이씨티케이
45601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3,600
전일대비
310
등락률
+2.33%
거래량
1,721,162
전일가
13,290
2025.04.04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아이씨티케이, 중국 슈퍼컴 1000조배 양자컴퓨터 공개…양자보안 '발등의 불'[특징주]아이씨티케이, 양자보안칩 대량생산 개시…미국 현재 암호 기술 단계적 폐기 [특징주]'세계 최초 상용화' 아이씨티케이, 양자기술 확보 나선 MS '눈에 띄네'
close
등 4개 종목이 상한가를 기록하며 530개 종목이 상승했다. 반면 하한가 없이 1034개 종목이 밀렸으며 105개 종목은 보합으로 마감했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