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가 테슬라를 최선호주로 지목하면서 테슬라가 급등하자 국내 2차전지 종목도 장 초반부터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30일 오전 9시 59분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비엠
24754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96,500
전일대비
1,000
등락률
-1.03%
거래량
184,626
전일가
97,5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무난한 장세…코스피·코스닥 모두 강보합 마감 양시장 강보합 개장…코스피 2473 출발 코스피, 하루 만에 하락 전환…2400선 마감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은 전일 대비 5.16%(9200원) 상승한 18만7400원에 거래 중이다.
에코프로머티
에코프로머티
45008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51,700
전일대비
200
등락률
-0.39%
거래량
221,723
전일가
51,9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MSCI 물갈이 임박에 주가 들썩… 편출입 후보株 '눈치게임' 에코프로머티, 1490억원 제3자배정 유상증자 사라진 관세 내성…韓 증시, 3% 동반 폭락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리얼즈 +3.73%,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3732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338,000
전일대비
4,500
등락률
-1.31%
거래량
70,190
전일가
342,5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무난한 장세…코스피·코스닥 모두 강보합 마감 양시장 강보합 개장…코스피 2473 출발 LG엔솔 대전·과천 R&D 핵심인력 서초 캠퍼스로…“시너지 극대화”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2.28%,
에코프로
에코프로
08652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48,0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83%
거래량
406,238
전일가
48,4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무난한 장세…코스피·코스닥 모두 강보합 마감 양시장 강보합 개장…코스피 2473 출발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도에 1% 넘게 하락…코스닥은 700선 내줘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2.21%,
에코프로에이치엔
에코프로에이치엔
38331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25,450
전일대비
100
등락률
+0.39%
거래량
30,408
전일가
25,35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티엑스알로보틱스, 물류·로봇 부문 성장세 기대" 에코프로 상장사 CEO, 급여 30% 자사주로 받아…"흑자전환 강력한 의지" 작년 시총 249조 증발…상장사 10곳 중 7곳 감소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2.07%,
엘앤에프
엘앤에프
0669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60,300
전일대비
400
등락률
-0.66%
거래량
89,612
전일가
60,7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이차전지주 나란히 강세…에코프로 8%대 ↑ 캐즘에 공매도까지, 방전된 이차전지 ETF 엘앤에프, 2027년 미국 현지서 LFP 생산한다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1.80%,
포스코퓨처엠
포스코퓨처엠
00367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126,600
전일대비
1,200
등락률
+0.96%
거래량
110,584
전일가
125,400
2025.04.18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 "포스코퓨처엠, 美 관세 직접 영향 제한적" 포스코퓨처엠, '디딤씨앗통장' 후원으로 지역 청소년 자립 지원 [특징주]이차전지주 나란히 강세…에코프로 8%대 ↑
전 종목 시세 보기
close
+1.40% 순으로 오르고 있다.
지난 29일(현지시간) 테슬라는 전장보다 5.60% 오른 232.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모건스탠리의 애널리스트 애덤 조너스가 최근 미국 자동차 섹터의 최선호주를 기존 포드에서 테슬라로 제시했기 때문이다. 그는 테슬라의 투자의견을 '비중확대'로 밝히고, 목표주가를 310달러로 상향했다.
애덤 조너스는 "테슬라가 지난 2분기에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향후 긍정적인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손익분기점을 낮췄으며 자동차 부문의 자원과 기술, 인력, 자본을 공격적으로 재배치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 확대 계획을 철회함에 따라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에서 '훨씬 더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황윤주 기자 hy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