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테크 열전⑮]탄소배출 문제 한번에…통합 탄소관리 플랫폼 '윈클'

박성훈 대표 "탄소배출 저감 준비 부족"
탄소배출 규제, 기업 생존과 직결
탄소배출권 시장 활성화 주도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탄소배출 저감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오는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하고 수출 규제를 확대한다. 하지만 국내에선 일부 대기업을 빼면 상당수 기업은 자사의 탄소배출량도 알지 못한다. 탄소배출 문제를 원스톱으로 해결해주는 윈클이 주목받는 이유다.


윈클은 2022년 6월 탄소배출권(탄소상쇄 크레딧) 거래 활성화를 위해 설립됐다. 기업의 탄소배출량 산정뿐만 아니라 적합한 보고, 탄소중립·저감 목표 설정, 탄소배출량 감소에 기여할 탄소배출권 공급까지 기업의 탄소문제를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통합 탄소관리 플랫폼을 제공한다.

회사는 삼성전자에서 모바일 신사업과 블록체인 사업을 총괄한 박성훈 대표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감독기구 위원인 오대균 서울대 교수가 공동 창업했다.

박성훈 윈클 대표.

박성훈 윈클 대표.

원본보기 아이콘

박성훈 대표는 24일 “국내 현장을 돌아보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탄소저감을 위한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은 곳이 많다”라며 “탄소배출 규제로 거래가 중단되는 등 경영 위기가 현실화하기 직전이지만 여전히 산업 현장에선 대응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탄소 시장은 정부 규제로 형성된 규제적 탄소시장과 규제가 없어도 탄소배출 감축과 그 실적을 거래하는 자발적 탄소시장으로 나뉜다. 자발적 탄소시장의 경우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온실가스 배출 삭감을 목표로 발족한 사업인 'SBTi', 사용하는 전력량의 100%를 2050년까지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국제 캠페인 'RE100'이 대표적이다.


박 대표는 “정부가 관리하는 규제적 탄소시장에서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벌금을 내면 그만이지만, 민간이 주도하는 자발적 시장에선 기업 신뢰도에 문제가 생기며 생존과 직결되게 된다”며 “SBTi의 경우 가입한 기업은 물론 하청기업도 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목표를 지키지 못하는 하청기업은 생존할 수 없게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자발적 탄소시장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SBTi에 가입한 글로벌 기업은 2021년 7월 1500여개에서 올해 8000여개로 늘어났다. SBTi에 가입하면 2년 이내에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공개해야 한다.


박 대표는 “우리나라 4대 금융사가 모두 SBTi에가입을 했는데,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중소기업에 대출을 해주면 ‘스코프3’에 따라 금융사가 책임을 지게 될 수 있다”라며 “결국 대출을 회수하게 되면 엄청난 파장이 생기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윈클 마켓플레이스 모습. (사진=윈클 홈페이지)

윈클 마켓플레이스 모습. (사진=윈클 홈페이지)

원본보기 아이콘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직접 온실가스 배출(스코프1)과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기 등을 포함하는 간접 온실가스 배출(스코프2)이 있다. 스코프3는 일반 기업의 경우 공급망과 협력업체, 금융기관은 대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투자 대상 기업의 탄소배출 등도 감축 목표에 포함된다.


문제는 탄소배출 저감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긴 시간과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당장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여력이 많은 기업에 없는 게 현실이다. 결국 기업은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배출 탄소를 상쇄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고, 윈클은 탄소배출권 시장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 대표는 "윈클은 세계적인 탄소배출권 인증기관인 베라, 골드스탠다드에서 인증받은 고품질의 탄소배출권을 중개하는 윈클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있다"며 "올해 5만t에 해당하는 탄소배출권을 거래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