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지난달 인구 단 3명 줄어… 인구 회복 긍정적 신호

저출생·인구 종합대책 점검 보고회 개최, 기존 시책 전면 재검토

인구위기극복 골든타임, 속도감 내며 ‘여성청년 정착’ 중점 추진

경북 구미시가 민선 8기 출범부터 인구 위기 극복을 최우선 정책으로 추진한 결과, 지난해부터 둔화한 인구 감소세가 올해 대폭 완화되는 등 긍정적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저출생  인구 종합 대책 점검 보고회.

저출생 인구 종합 대책 점검 보고회.

원본보기 아이콘

6월 말 기준 구미시 인구는 지난달 대비 3명이 줄어든 40만 4871명으로, 2022년 매달 평균 400명 대로 줄어들던 인구가 지난해 300명, 올해는 100명대로 줄었으며, 지난달에는 2022년 이후 처음으로 한 자릿수 감소를 했다.


2018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한 구미시 인구는 2022년 사상 최대폭인 4471명이 줄어 올해 1월경 40만명 붕괴 위기가 올 것으로 예상됐으나, 다양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가속화하던 추세가 반전된 것으로 보인다.

시는 민선 8기 들어 5조 7000억원에 가까운 대규모 기업투자와 함께 반도체 소재·특화단지, 방산혁신클러스터, 교육발전 특구, 최근 기회발전특구까지 정부의 지방시대 핵심과제에 연이어 선정되는 등 변화의 기운을 보이며, 도심의 신속한 재개발, 2조원 시 재정 확보로 인프라와 정주 여건 개선 등 살고 싶은 도시로 바뀌고 있다.


민선 8기 후반기를 맞은 구미시는 미래교육돌봄국을 신설하며 후반기 시정 방향도 ‘인구’로 정하고 ‘여성 청년 정착’에 역점을 둔다.


3일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한 ‘구미시 미래사회 준비 인구정책 대응 전략’ 특강을 시작으로, 김장호 시장이 주재한 저출생·인구 대책 종합보고회까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 6월 이철우 도지사 방문으로 구미에서 개최한 ‘저출생과 전쟁 현장토론’의 건의 사항을 중심으로 시민 입장에서 기존 저출생 극복 시책을 전면 재검토하고 맞춤형 추진 방안을 논의했다.


소아입원 환자를 위한 간병서비스 지원 ▲저출생으로 늘어나는 유휴 돌봄시설 활용방안 ▲돌봄센터 야간 이용아동 급·간식비 지원 ▲다자녀 혜택과 아이돌보미 공급 확대 ▲난임 지원 횟수 제한과 본인 부담금 폐지 ▲민간 산후조리원 비용 지원 등을 주요 내용으로 시는 경북도와 함께 개선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또 인구 감소 위기 극복을 위한 전입 지원 시책과 청년 정착 지원을 논의했다.


▲구미사랑 주소 갖기 협약제 ▲구미사랑 주소 지킴이 ▲구미사랑 인증제 운용 ▲전입신고 편의점 ▲전입 환영 모바일 메시지 발송 등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다양한 인구유입 방안이 제시됐다.


▲전입 학생 학업 장려금·장학제도 확대 ▲청년 안심 주거 지원 강화 ▲관외 대학교 통학생 교통비 지급 ▲구미청년 VIP 모바일 카드 등 청년정책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의 주요 화두는‘여성 청년 정착’이었다. 구미시 인구 감소율은 '22년 1%, '23년 0.6%, '24년 6월 현재 0.2%로 크게 완화됐으나, 지난 2년간 19세∼39세 청년인구는 5% 이상 감소했고, 여성 청년 인구는 5만 2487명에서 4만 8785명으로 7% 이상 감소했다.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구미 산단 특성상 현재 구미 고용보험가입자 또한 남성이 63.7%, 여성이 36.3%로 남녀 성비 격차가 커지고 있어 여성 청년 유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시는 단기적으로 경력단절 여성 일자리와 자격증 교육 등 취업 지원사업을 확대하고, 장기적으로 맞춤형 여성창업 프로그램 지원, 특화업종 기업 유치, 관내 대학 인기학과 개설 등 종합적인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김장호 시장은 “지난 2년간 인구 위기 극복에 집중한 결과 인구 감소세 완화라는 작지만 의미 있는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여러 통계 자료를 볼 때 지금이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여성친화도시 조성과 정주 여건 개선, 특히 대중교통 혁신 등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으로 구미에서 태어나고, 배우고, 잘사는 도시 만들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