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주가 줄줄이 상승 중이다. 역대급 수출 실적이 5월에도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됐으며, 아마존의 K뷰티 '지원 사격'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27일 오전 9시28분 현재
스킨앤스킨
스킨앤스킨
15991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895
전일대비
25
등락률
+2.87%
거래량
79,444
전일가
87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스킨앤스킨,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운영자금 20억원 확보"가처분 인용에… 최윤범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 '가시밭길'MBK·영풍 "고려아연 최윤범, 서린상사엔 집중투표제 배제…내로남불"
close
은 전일 대비 20.90%(232원) 오른 1342원에 거래 중이다.
씨앤씨인터내셔널
씨앤씨인터내셔널
35248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38,350
전일대비
1,150
등락률
+3.09%
거래량
137,218
전일가
37,20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클릭 e종목]"씨앤씨인터내셔널, 신제품 폭풍 성장 가능…주가 저평가"기대 못미친 4분기 실적 속 어닝 서프라이즈 종목은[클릭 e종목]"4Q 실적 핵심은 수출 비중과 고객다변화"
close
(8.62%),
콜마홀딩스
콜마홀딩스
02472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9,960
전일대비
690
등락률
+7.44%
거래량
555,616
전일가
9,27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콜마家, 남매 갈등 '점화'…여동생 "경영진 교체 시기상조"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에 이사회 개편 요구…남매간 분쟁 조짐[특징주]행동주의펀드 달튼 이사회 합류…콜마, 9%대↑
close
(8.10%),
마녀공장
마녀공장
43909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9,280
전일대비
320
등락률
+1.69%
거래량
95,966
전일가
18,96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796개로 확대…대량·바스켓 매매도 개시[특징주]사모펀드 인수 소식에 마녀공장, 24%↑[클릭 e종목]"마녀공장, 미국 진출 성장 기대"
close
(7.75%),
한국콜마
한국콜마
161890
|
코스피
증권정보
현재가
84,400
전일대비
900
등락률
+1.08%
거래량
254,481
전일가
83,50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잘나가는 K뷰티에 화장품 ETF 활짝[클릭 e종목]"한국콜마, 미국 사업 모멘텀 유효…목표가↑"[특징주]한국콜마, 역대 최대 실적 전망에 강세
close
(6.73%),
세화피앤씨
세화피앤씨
25250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821
전일대비
5
등락률
+0.61%
거래량
203,234
전일가
816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특징주]세화피앤씨, 수출 증가세·UAE 관세 철폐 소식에 23%↑[특징주]세화피앤씨, UAE 화장품 관세 철폐 소식에 23%↑세화피앤씨, 세르비아·라트비아에 모레모 제품 수출 …"유럽 전역 확장"
close
(5.63%),
현대바이오
현대바이오
048410
|
코스닥
증권정보
현재가
10,760
전일대비
350
등락률
+3.36%
거래량
159,463
전일가
10,410
2025.05.14 15:30 기준
관련기사
현대바이오, 식약처에 폴리탁셀 췌장암 임상 1상 시험계획 승인 신청현대바이오, 베트남 뎅기열 및 유사질환에 대한 CP-COV03 임상시험 Pre-IND 승인현대바이오, 주주배정 증자 소식에 연중 최저가
close
(4.44%), 제이준코스메틱(2.95%) 등도 동반 상승하고 있다.
이날 알려진 관세청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화장품류 수출금액은 40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20.80% 늘었다. 현 흐름이 연말까지 이어지면 연간 화장품 수출액은 기존 최대인 2021년의 92억2000만달러를 넘을 전망이다. 특히 수출국의 다변화가 주목할 부분이다. 부동의 최대 수출국인 중국은 10억5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1.6% 줄었으나 미국은 7억2000만달러로 67.8% 상승했다. 일본, 동남아, 유럽 시장 등도 골고루 성장 중이다.
인디 브랜드 중심 '역직구'로 미국인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는 것도 최근 K뷰티 인기를 보여주는 현상 중 하나다. 마녀공장과 조선미녀의 일부 제품은 아마존에 없어서 못 파는 수준이다. 이런 인디 브랜드의 제품의 제조자개발생산(ODM) 기업인 한국콜마도 함박웃음이다.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의 베스트셀러 상위권 제품 상당수가 한국콜마의 ODM 제품이다. 4월 기준 미국 화장품 수입액(약 6억3000만달러) 가운데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약 1억3800만달러)은 22%로 1위다. 기존 부동의 1위였던 '프랑스산'을 제치고 있다.
글로벌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은 26일 ‘프로젝트 K뷰티 고 빅(Project K-Beauty Go Big)’을 발표했다. 한국 중소기업들이 제작하는 뷰티 브랜드의 글로벌 비즈니스 성공을 지원한다는 의미다. 아예 화장품 기업 대상 설명회까지 마련했다. 한국콜마와 손잡고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K뷰티 콘퍼런스'를 연다. 강연 및 고객사 대상 비즈니스 상담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마존이 ‘화장품’이라는 특정 분야만으로 행사를 연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