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대응 못 하면 고객사 선택 못 받는다."
이상 기후가 현실로 다가오면서 기후 리스크 관리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기후 변화 대응 전략을 마련하지 않으면 현상을 관리하는 것조차 어려워지고 있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기준과 제도를 마련하고, 민간 부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 공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세계 각국에서 폭염, 폭설, 가뭄, 지진 등 이상 기후가 번지고 있다. 해외 유수의 연구기관뿐 아니라 당장 우리나라 기상청도 우울한 미래가 발생할 수 있다며 우려했다.
최근 기상청이 온실가스 농도와 기후변화 수치모델을 이용해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한 결과, 온실가스 배출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는 ‘고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2081~2100년 서울의 평균 폭염일수는 109.8일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폭염일은 하루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인 경우를 뜻한다. 서울의 여름일수는 194.3일로 2000~2019년 평균 127.7일보다 두 달 넘게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1년에 절반 이상이 여름인 셈이다. 열대야인 날도 96.1일로 현재보다 8.5배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더위뿐 아니라 강수량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2081~2100년 서울의 연평균 강수량은 1521.9㎜로 현재보다 20%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루 강수량이 80㎜가 넘는 호우 일수도 현재 연 2.7일에서 3.7일로 37%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3월 기후공시 규칙 최종안을 채택했다. 미국 내 모든 상장사가 기후 리스크와 관련 재무적 영향,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내용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라고 한 것이다. 시가총액 규모에 따라 순차적으로 기업들에 공시를 요구할 계획이다. 격렬한 찬반 논쟁에도 SEC는 이를 맞는 방향으로 판단했다.
국내에서도 지속가능성 공시제도 초안이 지난 4월 말 공개됐다. 초안에는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 정보 공시에서도 다른 지속가능성 주제는 선택할 수 있도록 했지만 기후 주제는 의무로 제시됐다. 금융위원회는 2026년 이후라는 전제 아래 관계 부처와의 협의 후 구체적인 도입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자본시장에서 기업가치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기후 대응능력과 계획이 필수가 된 것이다.
막대한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해운업계에서도 기후 리스크는 생존의 화두다. 친환경 추세에 맞춰 해운산업의 환경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선사들은 도전적인 수준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야 하게 됐다. 국제해사기구(IMO)는 당장 2030년까지 평균 운송업무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8년 대비 40% 감축해야 한다고 정했다. 친환경 선박 보유 여부로 경쟁력이 재편되는 분위기다.
기업들은 기후 관련 공시 규준을 잘 지킬 수 있도록 정부가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국가 차원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특히 공시 여력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RE100(재생에너지 100%) 가입 기업부터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고 했다.
유럽연합(EU) 등 각국은 수출기업에 기후 위기를 명분으로 탄소 관련 공시 규정을 강화하고 있다. 기업들은 자사 제품 생산 과정은 물론 협력사, 유통 과정 전체 주기에 걸친 탄소배출량을 정확히 측정해야 하는 ‘스코프3’ 공시 제도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 EU가 2026년부터 시행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디지털제품여권(DPP) 등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면 수출 제한을 받을 수 있지만, 데이터 측정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르면 2026년 EU가 도입하려는 DPP는 EU에서 유통되는 모든 제품의 생애 주기(생산·유통·판매·사용·재활용 등 모든 과정) 정보를 디지털로 수집·저장해 공유하는 제도다.
정부가 책임지고 국가 기후공시, EU DPP 관련 데이터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업계는 주장한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공시 중 스코프 1, 2는 국가가 관리하는 만큼 신뢰성 있는 데이터가 생산되고 있지만, 스코프3 영역의 경우 공시 방법론이 확정되지 않아서 기업 데이터 불확실성이 높다"며 "기업이 빠르게 공시 역량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는 기업 실정에 맞는 공시 툴(제도)을 국가(정부)가 도입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말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